배너

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유럽발 유동성 호재로 코스피 2010선 돌파


데일리연합 박혁진기자] 코스피 시장이 유럽발 유동성 호재 기대감에 따라 외국인이 거래일 연속 매수세에 나서자 201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에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코스피는 전장대비 14.56포인트(0.73%) 오른 2012.94를 기록했다. 이날 거래량은 3억8991만주(이하 잠정치), 거래대금은 4조749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날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정책위원회 결과 오는 9일부터 매달 600억원 규모 국채매입이 시작된다는 소식에 장초반부터 상승세를 탄 코스피는 외국인이 2800억원 이상 대량매수세를 기록하며 개인과 기관의 동반매수세 속에서도 올들어 처음 2010선을 돌파했다.

이날 외국인은 2877억원 매수우위를 보인 가운데 기관과 개인은 각각 1530억원, 1416억원어치를 팔았다. 프로그램으로는 145억원 매도물량이 출회됐다.

업종별로는 유동성 확대 기대감이 반영된 증권(3.85%) 업종을 비롯해 전기전자(1.23%), 운송장비(1.91%), 유통업(1.36%), 기계(0.97%), 화학(1.77%), 섬유의복(2.22%), 전기가스업(0.60%), 운수창고(0.38%), 제조업(1.19%), 의약품(0.36%) 등이 상승했다. 비금속광물(-0.78%), 철강금속(-0.83%), 종이목재(-0.92%), 건설업(-0.54%), 통신업(-1.29%), 은행(-0.87%)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주들 중에서는 삼성전자(1.41%), 현대차(3.28%), SK하이닉스(1.54%), 한국전력(0.68%), 현대모비스(0.98%), 삼성에스디에스(1.74%), 제일모직(2.58%), 기아차(2.35%), 아모레퍼시픽(3.06%) 등이 강세였다. 포스코(-1.45%), SK텔레콤(-2.41%), NAVER(-1.31%), 신한지주(-0.84%), 삼성생명(-0.61%) 등은 약세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시장은 11종목 상한가 포함 418종목이 강세를, 1종목 하한가 포함 400종목이 약세를 보였다. 48종목은 보합.

코스닥은 4거래일 연속 강세를 이어가며 전장대비 4.41포인트(0.70%) 오른 635.84 를 기록했다.

한편 누리꾼들은 "나도 주식이나 해볼까?", "괜찮네", "주식투자 할만한가?" 등의 반응을 보였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열악한 노동 환경 개선 촉구 목소리 높아져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건설 현장, 택배 배송 등 야외 작업장에서의 열사병 발생 위험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와 관련 기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주 서울 지역의 낮 최고 기온은 37도를 넘어섰고, 습도까지 높아 체감 온도는 40도에 육박했다. 이러한 극심한 폭염 속에서 야외 작업자들은 열사병, 탈수 등 건강상의 위험에 직면하고 있으며, 일부 사망 사고까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계는 정부와 기업에 작업 환경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분한 휴식 시간 보장, 냉방 시설 설치, 개인 보호 장비 제공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폭염 특별 휴가제도 도입과 같은 정책적 지원을 강조하며, 단순한 대책이 아닌 근본적인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주의보 발령 시 작업 중지를 권고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많은 야외 작업자들이 생계 때문에 작업 중지를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