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6일째 경북 전역으로 번지며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26일 전북 무주에서도 산불이 발생했다. 진화율은 지역마다 10%에서 77% 사이에 그치고 있으며, 피해 규모는 2022년 울진산불의 두 배로 추정되고 있다. 27일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9시20분께 무주군 부남면에서 발생한 산불은 인근 적상면으로 번진 상태다. 주택에서 난 불이 바람을 타고 야산으로 번진 것으로 추정된다. 소방당국은 소방헬기 5대와 차량 59대 등을 동원해 진화하고 있다. 야산 경계를 중심으로 숲에 물을 뿌리는 등 저지선을 구축하며 불길 확산을 막고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2일 의성군 안평면 괴산1리에서 성묘객의 실화로 시작된 산불은 강풍과 고온, 건조한 기상 여건 속에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인근 4개 시군으로 번졌다. 총 산불영향구역은 3만㏊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사망자만 현재까지 21명에 달했다. 의성 산불은 진화율 54%를 기록 중이며, 영향구역은 1만2685㏊에 달한다. 전체 271㎞의 화선 중 146㎞만 진화됐고, 주민 1200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경남 산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엿새째 이어지는 가운데, 불이 지리산국립공원 200m 앞까지 접근하며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다. 산불은 산청에서 하동 방향으로 번졌고, 강풍을 타고 빠르게 확산됐다. 이에 따라 산림당국은 전북·전남 등 인근 지자체의 지원을 받아 헬기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진화에 나서고 있다. 26일 지리산국립공원 경남사무소에 따르면, 산불은 국립공원 경계선 200m 이내까지 접근한 상태다. 현재 국립공원 직원들도 현장에 동원돼 진화작업에 참여 중이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야간에 공중진화대 및 특수진화대를 투입해 방화선 구축과 진화작업을 진행했고, 오늘은 하동권역 진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진화 완료 구역에 대해서는 잔불 제거를 통해 재발화를 방지할 방침이다. 현재 산불 진화율은 80% 수준이며, 진화에는 헬기 30대, 인력 1,720명, 차량 218대가 투입됐다. 피해 면적은 1,685헥타르로, 전체 화선 길이 63km 중 12.5km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인명 피해도 확대되고 있다. 이날 새벽 야간 진화 작업 중 한 대원이 부상을 입으며 현재까지 사망 4명, 중경상 9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울산 울주군 온양읍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흘째 꺼지지 않고 있다. 어제 오후 한때 진화율 69%를 기록했지만, 강풍이 다시 불길을 키우며 진화 작업에 난항을 겪고 있다. 오늘(24일) 오전 해가 뜨자마자 진화 헬기 12대가 본격 투입돼 산불 현장 상공을 오가며 집중 진화에 나섰다. 울산시와 소방당국은 전날 2,300여 명의 인력을 투입했던 데 이어, 오늘도 가용 인력을 총동원해 총력 대응 중이다. 산불은 어제 오전까지만 해도 화선(불길이 번지는 선) 12km 가운데 약 1.5km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잡히는 듯했지만, 오후 들어 강해진 바람을 타고 불길이 급속히 재확산됐다. 현재까지 피해 면적은 270헥타르를 넘어섰으며, 여전히 약 4km 구간에서 산불이 번지고 있다. 불길은 한쪽을 잡으면 다른 쪽으로 옮겨붙는 ‘도깨비불’ 양상을 보이며 진화율은 정체 상태다. 이에 따라 인근 주민 170여 명이 긴급 대피했고, 지역사회는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현장에는 초속 10m가 넘는 강한 바람이 불고 있으며, 오후에는 더 강해질 것으로 예보돼 오전 중 주불(불길의 중심부)을 잡는 것이 관건이다. 산불이 길어지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