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슈보도팀 | '딥씨크와 챗GPT' 열풍, 전문가가 본 둘의 차이점은? #딥씨크 #챗GPT #ChatGPT #DeepSeek #AI비교 #인공지능 #AI챗봇 #대화형AI #AI기술 #자연어처리 / DeepSeek vs. ChatGPT: Experts Explain the Differences 영상 편집 : 곽중희 기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슈보도팀 | 딥씨크(DeepSeek), 중국 청년들의 비밀 대공개 / Unveiling the Secrets of China’s Young Innovators / LLM, R1 #딥씨크 #deepseek #llm #ai #chatgpt #gemini #perplexity #reinforcement 영상편집 : 윤태준 인턴기자
이강훈(사단법인 한국인공지능연구소 소장 및 (주)퀀텀아이 대표) 기고,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편집ㅣ중국의 AI 챗봇 딥씨크(DeepSeek)와 챗GPT가 단연 화두다. 생성 AI 기술이 최근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면서, AI 업계에는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중국의 딥씨크는 약 100억 원 미만의 학습 비용으로 챗GPT o1 모델에 버금가는 성능을 구현하여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딥씨크가 왜 이처럼 주목받고 있는지 ▲챗GPT와는 어떤 차별점을 지니는지 그리고 ▲앞으로 생성 AI 경쟁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딥씨크가 주목받는 이유 딥씨크의 가장 큰 강점은 비용 효율성에 있다. 일반적으로 AI 모델 훈련에는 최고 사양의 H100 GPU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딥씨크는 상대적으로 저사양인 H800 GPU만으로도 놀라운 성능을 발휘한다. 이는 최신 소프트웨어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혁신적인 강화 학습 방법을 활용했기 때문이다. 강화 학습을 통해 스스로 reasoning 능력을 키우고 ‘아하 모먼트(Aha Moment)’를 체험할 수 있는 모델로 발전한 점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처럼 딥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인공지능(AI) 분야의 선도 기업 오픈AI(대표 샘 알트먼)가 12월 20일(현지시간) 새로운 추론 모델 'o3'와 'o3-미니'를 공개했다. 이 모델은 인공일반지능(AGI)에 근접한 최초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오픈AI는 12일간의 발표 이벤트 '십마스(shipmas)'의 마지막 날에 이 모델들을 출시했다. 'o2'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영국 통신사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샘 알트먼 CEO는 "이 모델을 통해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I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고 언급했다. 또한, o3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벤치마크 테스트를 실시했다. 특히, ARC 프라이즈 파운데이션의 그렉 캄라트 회장은 'ARC-AGI' 벤치마크를 통해 o3가 이전 모델인 o1의 최고 점수 32점을 크게 넘어 75.7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추론 시간을 늘리면 최대 87.5점까지 도달하여, 이는 인간의 평균 점수인 85점을 초과하는 성과다. 프랑수아 콜레 ARC 프라이즈 파운데이션 공동 창립자는 "o3의 출시는 AI 역량의 중요한 도약이며, 이제 AI 성능 기준은 o3에 맞춰야 한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내 직업은 안전할까?” 누구도 “아니”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상상만 했던 인공지능(AI)이 일자리를 대체할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AI의 일자리 대체는 이미 시작됐으며, 기존에 대체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 전문직의 업무 대체도 '시간 문제'라는 시각도 나온다. “업무의 90%는 AI가” 일자리 대체 기정 현실화 불과 5년 후 2030년에는 업무의 90%를 AI로 자동화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의 90%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한요셉 연구위원이 발표한 보고서, 이하 KDI 연구 보고서) 결과가 나왔다. 특히, 지난해 기준으로 이미 70% 이상의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일자리가 39%에 달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15일 주최한 ‘인구구조 변화, 다가오는 AI 시대의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 모색' 토론회에서 “AI에 크게 노출(대체)된 일자리는 국내 전체 취업자의 12%인 341만 명”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이처럼, 여기저기서 AI의 일자리 대체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더 주목할 점은 이러한 연구 자료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경상북도개발공사는 전 직원 챗GPT 업무활용 교육과 챗GPT도서 배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사단합 챗GPT 경진대회'를 지난 18일 실시했다. 이번 '노사단합 챗GPT 활용 경진대회'는 전 세계 이목을 집중시킨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토대로 챗GPT를 업무 전반에 반영해 업무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챗GPT를 활용한 그림 맞추기, 구내식당 식단표 짜기, 노사관계·혁신·저출산 등의 단어를 이용한 문장 만들기,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보고서 작성 등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각 부서 대표, 노사 대표의 치열한 경쟁과 함께 전 직원의 열띤 응원이 이어졌다. 이재혁 사장은 "앞으로 챗GPT를 활용한 업무범위가 더 넓어질 것로 예상한다. 노사단합과 업무혁신 차원에서 우리 직원들의 챗GPT를 활용하는 역량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라고 말하고 "앞으로도 노사가 함께 이런 신기술을 이용해 직원들의 업무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경북도민의 행복을 위해 항상 끊임없이 노력하는 공사가 되도록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