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06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원형탈모,스트레스와 생활습관을 바꿔야한다.



스트레스와 생활습관, 수면부족 등으로 원형 탈모를 겪는 인구는 매년 급증하는 추세다. 원형탈모는 동전 크기로 동그랗게 머리가 빠져 보이는 것으로 시작하지만,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빠르게 번져 머리카락은 물론 눈썹 등 전신 체모까지 잃게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았다고 해서 원형탈모로 인한 문제가 모두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탈모 치료 병원에서 체계적으로 원인부터 정확히 파악하지 않고, 가시적인 효과만을 위해 부작용이 큰 스테로이드제를 처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스테로이드로 일시적인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장기간 사용해 약물의 농도와 두피가 맞지 않게 되면 염증, 혈관 확장, 피부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치료는 고사하고 두피와 모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약물을 중단했을 경우 증세가 더욱 악화되는 금단 현상이 발생해, 머리가 순식간에 빠져버리는 최악의 상황도 나타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원형탈모를 겪게 되면 일단 자신감이 저하되고 조급한 마음이 들어,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나 효과가 빠르다는 스테로이드제를 선택해 증세를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더욱 많은 시간과 비용, 노력을 들이게 되고, 자칫 심리적 압박과 더 큰 스트레스로 인해 전두탈모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니 조기에 전문가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WT메소드 사당점의 변나리 원장은 “일단 원형탈모로 치료를 결심했다면, 원형탈모 자체가 체내 면역체계 이상으로 인해 백혈구가 모낭을 공격하여 발생하는 만큼, 단순히 머리가 빠지는 증상을 멈추는 데 급급한 치료가 아니라 면역 주사와 영양치료 등을 병행해 환자의 건강과 면역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회복시키는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변나리 원장은 WT메소드 사당점을 10년넘게 쌓아온 경력과 젊은 감각으로 운영하고 있다. 사당점만의 MCS특수재생 등 여러 노하우를 통하여 고객들이 퀄리티 높은 관리를 받을 수 있게 돕고 있다. 특히 사당점은 고객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1:1 맞춤케어를 제공하기 때문에 고객의 만족도 매우 높은 편이다. 이 곳은 탈모 뿐만 아니라 모발관리와 흰머리 관리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한편 WT메소드 사당점의 자세한 관리 프로그램은 공식 사이트(http://blog.naver.com/wtdopi)에서 확인 가능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북교육청, K-EDU EXPO 공식 캐릭터 '투투(ToTo)' 공개

데일리연합 (SNSJTV) 김재욱 기자 | 경북교육청이 오는 26일부터 28일까지 경주에서 주최하는 글로벌 교육축제 'K-EDU EXPO(케이에듀 엑스포)'의 공식 캐릭터 '투투(ToTo)'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한글 이름은 '함내(함께 내일로)'다. 이번 캐릭터는 엑스포 슬로건인 'Learn Together, Lead Tomorrow(함께 배우며, 미래를 열다)'에서 착안했다. 'To To'는 'Together, Tomorrow'를 압축해 표현한 것으로, 세계와 미래를 연결한다는 엑스포 정신을 담았다. 한글 이름 ‘함내’ 역시 ‘함께 내일로’의 줄임말로, 교육을 통해 글로벌 연대와 내일의 희망을 만들어가자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공개된 '투투'는 단일 캐릭터가 아니라 엑스포가 제시하는 여섯 가지 주제 영역을 바탕으로 다채롭게 변주된 12종의 캐릭터 버전으로 구성됐다. △교육으로 연결된 미래를 상징하는 '미래의 광장' △교육과 기술의 융합을 보여주는 '기술의 공방' △교육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문화의 뜰' △지역과 교육의 상생을 담은 '지역의 통로' △교육을 통한 세계의 연결을 표현한 '세계의 문' 등 주제를 반영한 모습으로 구현됐으며, 다양한 표정과 움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