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2015 미스 섹시백 코리아' 27일 예선 실시



데일리연합 이수연 기자] 뒤태 미인 선발대회인 ‘2015 미스 섹시백 코리아(Miss sexy back korea)’가 오는 27일 서울 광진구 광장동 악스홀 콘서트장에서 열린다.

스포츠 에이전시인 ESN KOREA에서 주최하고 광고대행사인 매니아컨설팅그룹이 주관, KS배우 트레이닝센터가 후원한다.

참가 신청은 25일까지 미스 섹시백 홈페이지(www.esnkorea.co.kr) 통해 할 수 있다.

예선은 오는 27일(토) 오후 1시부터 시작하며 참가자는 이날 오전 11시까지 도착해야 예선을 치를수 있다.이렇게 예선을 통과한 후보자 25명은 오는 8월 6일(목) 밤 10시에 치러지는 본선에서 다시 경쟁한다.

본선은 ▲자기소개 ▲수영복 심사 ▲청바지 심사 ▲조별 퍼포먼스 ▲K-POP 피트니스 댄스 심사로 진행된다.

1등부터 6등까지 수상자를 선발하며 1등은 상금 1500만원과 부상, 2등은 상금 300만원과 부상을 차지한다. 아울러 수상자 6명은 ESN KOREA 에이전시 전속모델로 6개월 간 활동할 예정이다.

심사위원은 두산매거진 이광걸 국장, 모델에이전시인 에스팀(ESteem) 소속모델 박슬기, 뷰티숍인 순수 이순철 원장 등 7~8명으로 이뤄졌다.

본선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생중계, 재방송될 예정이다. ▲현대 방송 ‘트렌디 채널’에서 생중계와 재방송을 후원하며, 온라인 TV ▲다음팟 ▲아프리카 TV, 모바일 TV ▲카카오TV ▲미스 섹시백 모바일 홈페이지에서 생중계된다.

스팟 영상은 ▲네이버 TV 케스트 ▲미스 섹시백 유튜브 채널에서 선보인다.

아울러 한국뿐만 아니라 홍콩, 대만, 상하이, 베이징 등 중화권 지역에도 ▲중화권 스마트 TV ▲샤오미 모바일 TV를 통해 온라인과 모바일로 생중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스 섹시백 코리아’를 기획·총괄하는 ESN KOREA 대표 앤드류 박은 “올해 열리는 미스 섹시백은 지난해와 다르게 K-POP 피트니스 댄스 심사를 추가하는 등 차별화하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예선과 본선에서 사용하는 모든 의상은 ESN KOREA가 제공하며 예선에선 검은색 구두 등 굽 높이 12~15cm 구두를 지참해야 한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