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커피프렌차이즈 창업 더착한커피)전문가 블라인트 테스트에서 최고의맛으로 평가



주)스마트플레이스는 카페를 운영하거나 카페에서 근무하고있는 파리트타 12명을 초청하여 블라인드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커피가격은 2000원에서 4100원을 주고 언제든지 맛볼수 있는 7종의 아메리카노 커피를 대상으로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평가결과는 의외였다. 2500원짜리 더 착한커피가 32점을 받아 4000원 안팎의 전문점 커피들을 제치고 1위에 뽑혔다. 2위는 21점을 받은 1500원짜리 D사 3700원짜리 S사커피가 뽑혔다. 4100원 짜리 C사는 16점을 받았다. 평가점수 산정은 피실험자별로 선호도 1-3위를 뽑아 1-3점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가장 비싸보이는 커피로 더 착한 커피를 선택한 윤지선(여 30)파리스타는 에스프레소처럼 맛과 향이 진해 가장고급 커피인줄 알았다 고 말했고 채은지(여 27)파리스타도 진한커피를 좋아하는데 더착한커피가 그에 해당된다라고 말했다. 이번테스트를 통해 굳이 비싼커피를 사먹을 필요가 있을까 란 생각이든다 라는 말을 전했다.

 더착한커피 관계자는 타사제품은 대부분 생두를 고르지않고 로스팅(굽기)하기 때문에 맛이 고르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우린 디지털 자동계량기를 통해 균일하고 신선한 원두를 로스팅하여 진하고 깊은맛과 향을 느낄수 있다고 전했다.

각자 취향에 따라 선호하는 맛이 다를 순 있지만 이번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 더착한커피만의 맛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더착한커피는 현재 가맹비 교육비 물류보증금이 무료이다. 또한 1년이내에 폐업시에 60% 창업비용을 다시 되돌려주겠다는 파격적인 마케팅을 제시했다.

그만큼 커피전문점사업에 자신을 내비쳤다.

다른 커피프렌차이즈 창업에 비교해 상당한 비용절감을 하여 소자본창업자들까지 커피전문점 창업을 도전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더 착한커피 월평균 수익률 또한 타사대비 마진율을 높였기 때문에 예비 창업자들이 관심 가져볼만하다. 커피 창업을 생각한 창업주나 새로운 창업아이템을 찾는 커피전문점 더착한커피의 마케팅 노하우와 시스템 정보를 한번쯤 상담해 볼 만하다.

http://blog.naver.com/hoy1717 

더착한커피 1566-6391 심재현과장 : 010-7544-6774  설은지주임 010-5300-9020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북교육청,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역량 강화 연수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경북교육청은 지난 5일 구미시에 있는 호텔금오산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140여 명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문성을 높이고,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한 삶과 성장 중심 교육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현장의 열의와 교육 변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는 개념 기반 탐구학습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자율시간 운영 방안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 탐색 등으로, 교육과정 지원단의 현장 적용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됐다. 또한,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경북교육청이 새롭게 도입하는 ‘경북학생성장지원평가’에 관한 실질적인 안내도 함께 이루어져 참여자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었다. 경북교육청은 앞으로도 ‘학생 중심’과 ‘미래 지향성’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를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