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제

글로벌 생활비 최고 지구 랭킹, 중국이 제74위, 태국보다 낮아, 한국 제19위

 

 글로벌 생활비 랭킹, 중국이 제74위

타이완 중앙사 보도에 따르면 글로벌 데이터 뱅크 눔베오(Numbeo)사이트가 최신 2017년 연중 글로벌 생활비 지수 랭킹을 공포했는데 버뮤다(Bermuda)가 이번에 조사한 115개 국가와 지구 중 생활비가 가장 비싼 지구로 되고 중국은 제74위에 평가됐다.

버뮤다는 드높은 생활원가와 임대료로 최종 150.38점으로 다년간 첫자리에 위치한 스위스를 대체했다. 후자는 138.16점으로 차석에 위치했다.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가 각기 130.79점과 112.75점으로 랭킹 제3위와 제4위에 위치했다.

바하마(Bahamas)가 랭킹 제5위에 평가되고 제6위부터 제10위는 순서별로 덴마크,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일본, 이스라엘 및 싱가포르이다.

타이완은 66.80점으로 제34위에 위치했는데 주요하게 잡화품 원가와 현지 구입력이 갈수록 제고된 때문이었다.

기타 지구 차원에서 뉴질랜드가 제11위, 호주가 제13위, 프랑스가 제18위, 한국이 제19위, 홍콩이 제21위, 미국이 제24위, 영국이 제25위, 독일이 제26위, 태국이 제70위, 말레이시아가 제79위이다.

그리고 생활비가 가장 낮은 국가는 이집트, 그 다음은 인도 및 파키스탄이다.

이번 조사는 각국 소비자 물가 지수 분석을 근거로 했는데 그 중에는 생활원가, 잡화품 원가, 식당, 임대료와 현지 구입력(Local Purchasing Power) 등 지수를 포함했으며 모든 항목 결과를 종합했다. 


据台湾“中央社”报道,全球资料库NUMBEO网站公布最新2017年年中全球生活费指数排行榜,百慕大成为在调查的115个国家与地区中全球生活费最贵的地区,中国排在第74。

百慕大以昂贵的生活成本与租金,最终以150.38总分取代居首位多年的瑞士,后者以138.16居次;冰岛与挪威则分别以130.79及112.75排名第3及第4,巴哈马则排名第5。第6至第10依序是丹麦、美属维尔京群岛、日本、以色列及新加坡。台湾则以66.80分排名第34名,主要是因为杂货成本及本地采购力日渐提高因素。

其他地区方面,新西兰第11、澳大利亚第13、法国第18、韩国第19、香港第21、美国第24、英国第25、德国第26、泰国第70、马来西亚第79。至于生活费最低的国家为埃及,其次为印度及巴基斯坦。

这项调查根据各国消费者物价指数分析,包括生活成本、杂货成本、餐厅、租金与本地采购力(Local Purchasing Power)等指数,并综合所有项目得出结果。

/新华网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북교육청,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역량 강화 연수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경북교육청은 지난 5일 구미시에 있는 호텔금오산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140여 명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문성을 높이고,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한 삶과 성장 중심 교육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현장의 열의와 교육 변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는 개념 기반 탐구학습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자율시간 운영 방안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 탐색 등으로, 교육과정 지원단의 현장 적용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됐다. 또한,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경북교육청이 새롭게 도입하는 ‘경북학생성장지원평가’에 관한 실질적인 안내도 함께 이루어져 참여자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었다. 경북교육청은 앞으로도 ‘학생 중심’과 ‘미래 지향성’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를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