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베트남 R&D 센터' 준공식 참석한다.

21일 출국...22일 삼성 R&D 센터 준공식 참석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과도 회동할 예정
2020년 이후 2년 만에 베트남 출장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1일 베트남 출장길에 오른다. 22일 예정된 삼성전자 베트남 연구개발(R&D) 센터 준공식에 참석하기 위한 목적이다. 아랍에미리트(UAE)에 이어 글로벌 현장경영을 가속화 하는 가운데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과 회동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이재용 회장이 베트남을 찾는 것은 2020년 이후 2년 만이다. 2020년 10월 베트남을 방문해 푹 주석과 만나 "신축 R&D 센터가 삼성그룹의 연구 개발의 거점이 되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출장에서 이 회장이 푹 주석을 만날 경우 세 번째 만남이 된다. 두 사람은 2018년과 2020년 베트남에서 회동을 갖고,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그동안 푹 주석은 이 회장에게 여러 차례 반도체 공장 투자를 요청해왔다. 이 회장이 베트남을 아시아의 핵심 생산 기지로 낙점한 만큼, 이번 출장에서 추가 투자 발표가 나올지 관심이 집중된다.

 

삼성 베트남 R&D 센터는 이 회장이 심혈을 기울여 온 초대형 프로젝트 중 하나다. 삼성그룹이 해외에 R&D를 목적으로 세우는 첫 건물이다. 2020년 3월부터 하노이 떠이호 신도시 인근에 2억 2,000만 달러(2,835억 원)를 들여 설립했다. 센터는 1만 1,603㎡ 부지, 지하 3층·지상 16층, 연면적 7만 9,511㎡ 규모로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 베트남 법인은 R&D 센터에서 근무할 전문 연구인력을 모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센터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기기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R&D 인력을 포함해 3,000명쯤이 근무할 예정이다. 삼성그룹은 현지 R&D 센터에서 제품 개발 분야뿐 아니라 인공지능(AI), 5세대 이동통신(5G), 빅데이터 등 미래 기술 분야에서도 연구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베트남은 젊은 노동자들이 많고, 아시아 하이테크 공급망과 접근성이 좋아, 차기 반도체 강국으로 주목받는 국가 중 하나다.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기업들이 ‘탈 중국’ 대안으로 베트남에 투자를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베트남에서 반도체 조립·테스트 공장을 운영 중인 인텔은 2021년 베트남에 대한 반도체 투자를 50% 정도 늘렸다. 5G 제품 및 10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제조를 위해 4억 7,500만 달러(6,091억 원)를 투입했다. 일본의 반도체 기업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도 베트남에서 수년째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최대 외국인직접투자(FDI) 기업으로 6월 기준 누적 투자액이 200억 달러(26조 원)가 넘는다. 이는 기존에 계획한 투자 금액의 28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장성군 ㈜고려시멘트 건동광산 개발에 ‘LS그룹’ 나섰다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폐광 예정인 ㈜고려시멘트 건동광산에 데이터센터를 조성하는 장성군의 중장기 프로젝트 추진이 탄력을 받게 됐다. 군은 20일 군청 상황실에서 ㈜석세스뱅크장성, LS일렉트릭㈜, LS사우타㈜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김한종 장성군수, 전재연 ㈜석세스뱅크장성 대표이사, 정현만 LS일렉트릭㈜ 데이터센터 팀장, 박우범 LS사우타㈜ 대표 등 관계자들이 협약식에 참석했다. 건동광산은 ㈜고려시멘트가 2006년 전라남도 인가 이후 꾸준히 운영해 온 석회 광산이다. 2023년 8월 장성군과 ㈜고려시멘트 측이 공장 가동을 중단하기로 뜻을 모으면서 발길이 끊어졌다. 이후 ㈜고려시멘트는 2024년 11월 군과 업무협약을 맺고 폐광·광업권 말소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건동광산을 장성군에 기부채납하기로 했다. 현재 ㈜강동씨엔엘에서 폐광을 위한 광해실태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첨단산업의 운영·발전에 필수적인 전산 데이터 관리시설이다. 서버 등을 가동할 때 발열량이 상당하다 보니,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지방 분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