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베트남, 한국 최대 무역흑자국에 첫 부상

베트남 무역수지 흑자 342.5억 달러...무역흑자액 1위
한국, 베트남 수교 30년만 처음
최대 무역수지 적자국 1위는 사우디아라비아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베트남이 사상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으로 부상했다. 연간 기준으로 베트남이 우리의 최대 무역 흑자국에 오른 것은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는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 30주년을 맞은 해로, 그간 다양한 분야에 걸쳐 양국의 투자와 협력이 강화되면서 흑자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대(對) 베트남 수출은 609억 8000만 달러, 수입은 267억 2000만 달러로, 무역수지 흑자가 342억 5000만 달러(약 43조 원)로 집계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베트남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에서 글로벌 기업의 생산 기지로 부상하고 있다"라면서 "베트남이 최대 무역 흑자국이 된 것은 우리 기업이 활발히 진출하며 긴밀한 경제 파트너로 자리매김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작년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는 베트남에 이어 미국(280억 4000만 달러), 홍콩(257억 9000만 달러), 인도(99억 8000만 달러), 싱가포르(98억 6000만 달러) 등의 순으로 컸다.

 

대미(對美) 무역수지는 수출액이 전년 대비 14.5% 증가하며 2017년 이후 6년 연속 증가한 영향이 크다. 지난해 대미 수출액(1098억 2000만 달러)은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대표적인 신흥 무역 시장인 인도로의 작년 수출액(188억 8000만 달러)은 전년 대비 21.0% 급증하며 사상 최대치에 이르렀다. 수출 호조에 힘입어 인도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한국의 무역 흑자국 5위에서 지난해 4위로 한 단계 상승했다.

 

반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연속 한국의 무역 흑자국 1위였던 홍콩은 지난해 3위로 밀렸다. 중국의 경우 2018년 흑자국 1위, 2019년 2위, 2020∼2021년 3위였다가 지난해(12억 5000만 달러)에는 22위로 밀려났다. 대중(對中) 무역수지가 20위 밖으로 밀려난 것은 1992년 적자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 흑자를 기록한 해 중에서는 작년이 처음이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과 지역 봉쇄에 따른 경제 성장 둔화로 대중 수출은 감소했지만, 리튬을 비롯한 산업용 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급증했기 때문이다. 중국으로 중계무역이 많은 홍콩과의 무역수지도 덩달아 축소됐다.

 

작년에 한국의 수출은 역대 최대인 6839억 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6위(1∼9월 기준)로 한 단계 도약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에너지 가격 폭등으로 수입액이 급증하며 무역수지 적자가 472억 달러(약 60조 원)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그만큼 한국의 흑자 교역국뿐 아니라 적자 교역국 순위에도 큰 변동이 생겼다.

 

지난해 한국의 무역 적자국에는 에너지 자원 부국인 사우디아라비아(-367억 1000만 달러)와 호주(-260억 9000만 달러)가 1, 2위를 차지했다. 이들 두 나라는 각각 우리나라의 최대 원유, 천연가스 수입국으로, 지난해 글로벌 에너지 수급난에 따른 가격 폭등으로 수입액이 대폭 늘어나면서 무역수지가 크게 악화한 것이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7년 연속 무역 적자국 1위였던 일본은 지난해 3위(-240억 7000만 달러)로 내려갔다. 이 밖에 카타르(-160억 2000만 달러), 독일(-134억 5000만 달러)이 지난해 한국의 무역 적자국 4, 5위를 기록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장성군 ㈜고려시멘트 건동광산 개발에 ‘LS그룹’ 나섰다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폐광 예정인 ㈜고려시멘트 건동광산에 데이터센터를 조성하는 장성군의 중장기 프로젝트 추진이 탄력을 받게 됐다. 군은 20일 군청 상황실에서 ㈜석세스뱅크장성, LS일렉트릭㈜, LS사우타㈜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김한종 장성군수, 전재연 ㈜석세스뱅크장성 대표이사, 정현만 LS일렉트릭㈜ 데이터센터 팀장, 박우범 LS사우타㈜ 대표 등 관계자들이 협약식에 참석했다. 건동광산은 ㈜고려시멘트가 2006년 전라남도 인가 이후 꾸준히 운영해 온 석회 광산이다. 2023년 8월 장성군과 ㈜고려시멘트 측이 공장 가동을 중단하기로 뜻을 모으면서 발길이 끊어졌다. 이후 ㈜고려시멘트는 2024년 11월 군과 업무협약을 맺고 폐광·광업권 말소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건동광산을 장성군에 기부채납하기로 했다. 현재 ㈜강동씨엔엘에서 폐광을 위한 광해실태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첨단산업의 운영·발전에 필수적인 전산 데이터 관리시설이다. 서버 등을 가동할 때 발열량이 상당하다 보니,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지방 분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