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세계 최장의 대교: 쟝수성의 여러 도시 경유, 기네스 세계기록 취득!

 

수남지구 즉 쟝수성 남부지구로 말하면 단쿤 특대교가 새로운 채널 개척

세계적으로 많은 대교들을 장교 즉 긴 대교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런데 중국에는 세계적으로 가장 긴 대교가 있는데 대교 길이가 기네스 세계기록을 취득했다. 이 대교는 중국 쟝수성(江苏省)의 몇개 도시를 경유한다.

9월 29일 중국 광명망(光明网) 보도에 따르면 이 대교는 바로 단쿤 특대교(丹昆特大桥)로서 징후 고속철(京沪高铁, 베이징~상하이) 쟝수성 구간(江苏段)에 위치했다. 이 대교는 단양(丹阳)에서 시작하여 창저우(常州), 우시(无锡), 수저우(苏州)를 지나 최종적으로 쿤산(昆山)에서 끝나는데 전체 길이가 164.851 km로서 현재 기네스세계 기록에 기재된 세계적으로 가장 긴 대교이다. 

지질 등 원인과 토지절약 등 고려로 이 대교는 전부 고가교량을 채용했다. 이 대교가 관통한 수남지구(苏南地区)는 평원 하천망 지형면모로서 수면너비가 20m이상되는 하천이 150여개나 된다.

경제 발달지구에 위치하고 도로망이 가로세로 분포되고 있어 이 대교는 각종 등급의 도로 180여개를 경과해야 했다. 도로를 넘고 철도를 넘으며 수로를 넘어 단쿤 특대교는 일종 현대화 도로교라는 꿋꿋한 자태로 전체 수남대지를 가로넘었다. 

적극적인 합작으로 윈윈하는 ‘대타이후 시대(大太湖时代)’를 모색하는 수남(苏南)지구로 말하면 단쿤 특대교가 새로운 채널을 열면서 구역내 자원 통합의 속도를 다그칠뿐만 아니라 교통 우세를 통해 전체 장강삼각주(长三角)의 경제 공동 진흥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런 긴 대교가 세계적으로 기타 대교들은 비할 수 없다. 그러나 이처럼 큰 대교 건설에 투자도 역시 매우 거대해 단쿤 특대교 총 투자가 300억 좌우에 달했다.


在世界上有很多的大桥可以被称作长桥,今天要说的这座大桥是世界上第一长桥,长度获吉尼斯世界纪录,途经江苏省几个省,一起来看看吧!

这座大桥就是丹昆特大桥,位于京沪高铁江苏段,起自丹阳,途径常州、无锡、苏州,终到昆山。全长164.851公里,为目前吉尼斯世界纪录所记载的世界第一长桥。

因地质原因和出于节省土地的考虑,该桥全部采用高架桥梁通过。该桥纵贯的苏南地区属平原河网化地貌,水面宽度在20米以上的河道有150余条。

因处于经济发达地区,路网纵横,该桥需跨越各类型等级道路180余条。跨公路、跨铁路、跨水路,丹昆特大桥以一种现代化高速铁路桥的傲然姿态,跨越着整个苏南大地。

对于正积极谋求合作共赢“大太湖时代”的苏南来说,丹昆特大桥将会打开一条新的通道,不仅加速区域内资源整合,还可凭借交通优势,促进整个长三角的经济共振。

这么长的大桥,在世界上的其它大桥根本无法与之相比,不过要建这么大的一座桥,投资也是巨大的,丹昆特大桥总投资为300亿左右。

/光明网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기후환경에너지부’ 이번 주 출범 윤곽…에너지 주도권, 환경부로 이동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영우 기자 | 이재명 정부의 대선 공약이자 핵심 국정과제였던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안이 이번 주 공식 발표될 전망이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오는 13일 국정과제와 함께 정부 조직개편안을 공개할 예정이며,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기능을 통합·조정하는 ‘기후환경에너지부’ 개편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환경부 중심 개편 유력당초 정부는 환경부의 기후탄소정책실과 산업부의 에너지실을 묶어 별도 부처를 만드는 방안(1안)과, 환경부가 산업부 에너지실을 흡수하는 방안(2안)을 병행 검토해 왔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환경부 중심의 통합 개편안에 무게가 실린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주도의 재편은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설립 취지에 부합한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 경우 에너지 수급 관리, 전력 정책 등 주요 에너지 업무와 한국전력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이 환경부 관할로 이관될 가능성이 크다. 환경부는 기후탄소정책실과 함께 산업부 에너지실, 그리고 한국전력공사 등 주요 에너지 공기업을 관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력 수급, 재생에너지 확대, 탄소 감축까지 ‘원스톱’으로 추진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산업계·환경계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