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사회포커스] 2019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관련 학생·청소년 작품 공모전 시상식 개최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사회포커스]     
여성가족부는 「2019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관련 학생·청소년 작품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공모전은 2014년 처음 개최된 이래 올해 여섯 번째로 진행되었으며,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이 주체가 되어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올바르게 배우고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올해 공모전은 지난 6월 4일부터 9월 19일까지 총 1,750점(미술 1,636점, 음악 114점)이 접수되었으며, 공모전의 취지와 작품성 등을 고려하여 총 27점(최우수상 1팀, 우수상 2팀, 장려상 24팀)의 수상작을 선정하였다.

 먼저, 최우수상에는 고등학교 동아리 ‘저널리즘’ 팀이 선정되었으며, 수상작인 뮤직비디오 ‘REALLY HOPE!’는 ‘나눔의 집*’을 방문하여 촬영한 영상에 직접 만든 자작랩으로 피해자 할머니들의 존엄과 명예가 회복되기를 바라는 희망의 마음을 담았다.

 미술분야의 우수상은 인권운동가의 삶을 살아오신 故 김복동 할머니의 발자취를 새싹으로 표현한 최이정 학생의 ‘꽃비’, 음악분야의 우수상은 할머니들의 잊을 수 없는 상처와 애타게 고향이 그리웠을 할머니들의 마음을 생각하며 노래한 대학생팀 ‘우리는 셋’의 ‘귀몽’이 받았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미술, 영상 등 수상작들의 전시와 음악 분야 수상 4팀의 공연도 펼쳐 수상자들과 참석자들이 함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또한, 시상식 이후에는 서울역(12.8~12.14, 역사 3층 맞이방)에서 수상작을 전시하여 국민들에게도 선보일 계획이며,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www.hermuseum.go.kr)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수상작을 감상할 수 있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공모전 참가를 계기로 청소년들이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잊어서는 안 될 역사적 교훈으로 꼭 기억하기를 바란다.”라며, “여성가족부는 일본군‘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상처 치유와 명예·존엄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며, 청소년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김동연 경기도지사 “시진핑 주석의 APEC 참여와 한중 관계 복원 기대” 다이빙 주한중국대사 만나 실질협력 강화 논의

데일리연합 (SNSJTV) 장우혁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경주 APEC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한중 수교 기념일(8월 24일)을 앞둔 21일 오후 경기도중앙협력본부에서 다이빙(戴兵) 주한중국대사와 만나 “이번 가을에 시진핑 주석의 APEC 참여를 기대한다. 이를 계기로 팬데믹 이후 (서먹해진) 한중 관계가 복원됐으면 좋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한중 양국 간 경제ㆍ문화ㆍ산업ㆍ지방교류 등 다양한 분야의 실질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이날 면담에서 “중앙정부에서 일할 때부터 여러 중국 친구들과의 좋은 인연이 있다. 허리펑 부총리는 경제부총리 때 카운터파트너였다”며 중국과의 인연을 소개한 후 “리커창 총리 장례식이 있던 저녁에 허리펑 부총리를 경기도지사로 만나기도 했다. 장쑤성 서기, 랴오닝성 서기 또한 경기도 공관에 초청하기도 했다. 따라서 양국의 좋은 관계를 유지뿐 아니라 더욱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반가움을 표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경제 협력은 강화돼야 한다. 한국과 중국은 통상, 우호, 산업 협력을 지지하고 있는 만큼 양국의 협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