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국군의 날’에도 태극기를 달아요!

10월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운동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기자 | 10월 1일 국군의 날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시죠?

국군의날은 국기법 제8조 제2항에 따르면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규정에 따른 기념일 중 현충일 및 국군의 날에 국기를 달아야 합니다.

 

언제 태극기를 다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 태극기 다는 방법

 

V 태극기 다는 시간은 7시~18시까지 (월별로 다름)

V 비·바람이 심할 땐 태극기를 내렸다 달기

V 태극기 달 때 안전사고 유의

 

■ 10월에는 태극기를 세 번 달아요!

 

- 제76주년 국군의 날 (10.1.) / 기념일

- 4356주년 개천절(10.3.) / 국경일

- 578돌 한글날(10.9.) / 국경일

 

나라의 소중함과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되새기는 의미에서

추진하는 10월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운동

 

■ 일 년 중 태극기 언제 달까요?

 

국경일

 - 3·1절 (3.1.)

 - 제헌절 (7.17.)

 - 광복절 (8.15.)

 - 개천절 (10.3.)

 - 한글날 (10.9.)

 

기념일

 - 현충일 (6.6./조기)

 - 국군의 날(10.1.)

 

국경일과 기념일이 아니더라도

국가는 매일 24시간 달 수 있어요!

 

■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국군의 날 퀴즈

 

Q1. 국군의 날은 임시 공휴일이기 때문에 국기를 달지 않아도 된다.

 

정답은 X

국기법 제8조 제2항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기념일 중 현충일과 국군의 날은 국기를 달아야 한다.

 

Q2. 국군의 날에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고 달아야 할까?

 

정답은 X

국군의 날, 개천절, 한글날에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달아요.

조의를 표하는 현충일, 국가장 기간에는 깃면의 세로 너비만큼 내려서 달아요.

 

■ 태극기 달 때 꼭 기억하세요!

 

① 각 가정에서 국기를 다는 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입니다.

*3월~10월 : 오전 7시~오후 6시, 11월~2월 : 오전 7시~오후 5시

 

② 심한 비바람 등으로 국기의 존엄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면 달지 않고,

일시적 악천후에는 날씨가 갠 후 달거나, 내렸다가 다시 달아요.

 

③ 아이와 함께 국기를 달 때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세요.

 

 

*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는 태극기 도안에 색칠해 보는 놀이도 해보세요.

‘행정안전부 어린이’ 누리집에서 도안을 내려받을 수 있어요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금리 인상 우려 속, 국내 증시 혼조세…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와 불확실성 공존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9월 4일 현재, 국내 증시는 미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과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교차하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소폭 상승 또는 하락하는 등 등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코스닥 지수 또한 유사한 움직임을 보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여전히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타나면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는 국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향후 통화정책에 대한 발표를 예의주시하며 신중한 투자 전략을 취하고 있다. 반면, 메모리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요 반도체 업체들의 재고 감소와 수요 증가에 대한 전망이 나오면서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서버용 메모리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향후 반도체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감은 여전히 불확실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