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5.8℃
  • 구름조금강릉 15.7℃
  • 맑음서울 15.9℃
  • 맑음인천 13.2℃
  • 맑음수원 14.0℃
  • 구름조금청주 17.2℃
  • 맑음대전 17.8℃
  • 구름많음대구 17.7℃
  • 맑음전주 16.1℃
  • 구름조금울산 14.1℃
  • 맑음광주 17.9℃
  • 구름조금부산 13.3℃
  • 맑음여수 14.1℃
  • 흐림제주 13.8℃
  • 구름조금천안 16.9℃
  • 구름많음경주시 15.9℃
  • 맑음거제 14.4℃
기상청 제공

SNSJTV

[단독/이슈기획14] '갤러리K 사태 연루' 한국재무설계 대표 “알고도 쉬쉬?”

“폰지사기 의혹 알면서 제휴 유지?” 한국재무설계 대표 책임론 부각
대표 A씨, 사건 공론화 후 SNS 게시글 삭제, 사내 밴드방도 폐쇄
갤러리K 피해자 속출에 수사 확대… 동대문서, 서울경찰청에 이첩
금융 파생 상품 등 판매 안전성 검증 도마 위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갤러리K(대표 김정필)의 사기 사태에 연루된 한국재무설계(이하 재무설계)의 대표 A씨가 아트테크 상품의 위험성을 미리 알고도 “쉬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본지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재무설계 대표 A씨는 갤러리K 사기 의혹 사태가 공론화되기 전 이미 갤러리K의 아트테크 상품이 폰지사기라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입수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경 대표 A씨는 회사(재무설계) 내부 관계자와의 대화에서 갤러리K 사업에 대해 “약간 리스크도 있지 않나? 그림만 하면 모르는데 금융을 입혀 렌탈료까지 받고 있다”며 “결국은 돌려막기라는 그런 말도 나온다. 누구는 그렇게 얘기하더라”고 말했다.
 

이어 “(재무설계가) 세일즈 볼륨이 그렇게 크지 않고, 렌탈 방식으로 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고 주로 (미술품) 매매 위주로 되고 있어, 리스크는 없는 편이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회사 내부 관계자가 “갤러리K에 대해 잘 짚어봐야 한다. 회사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우려하자, A씨는 “제휴를 하지 않으면 몰래 (영업을) 하고, 더 리스크가 커져서 (제휴를) 하기는 했다”며 “일단은 지켜보자”고 덧붙였다.

 

회사와 대표를 믿고 아트테크 상품을 판매한 재무설계 소속 설계사들은 대표 A씨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영업 행위를 독려했으며, 사태가 터진 후에는 관련 게시글을 삭제하는 등 책임을 회피했다는 사실에 분노하고 있다.

 

 

이에 대해 또 다른 회사 내부 관계자는 “상품의 안전성을 확인하지 않고 제휴를 맺은 것도 문제지만, 의혹이 나온 것을 알면서도 그냥 방치한 것도 문제”라며 “작년 12월에 지웅갤러리 사태가 있은지 채 1달도 지나지 않아 갤러리K 측이 회사 본사에 와서 교육을 했었다”고 꼬집었다.
 

이어 “(대표 A씨가) 단순 미술품 판매가 대부분이라고 했었는데, 단순 미술품만 판매한 설계사가 거의 없다. 대부분 아트테크 상품을 판매했다. 업무 제휴를 한지 2년이 넘었는데 소속 설계사들이 어떤 상품을 판매하는지도 모르고 있었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일부 금융 전문가들은 피해자가 많이 양성된 만큼 갤러리K와 제휴를 맺고 아트테크 상품 판매를 유도한 이들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보고 있다.

 

금융소비자연맹 고위 관계자는 “대표라는 사람이 (갤러리K)의 아트테크 상품에 사기 의혹 등 문제 소지가 있음을 알고서도 미리 대처하지 않고 방치하거나 판매를 독려했다면 책임 소지가 더 크다고 본다”며 “경찰 조사가 진행돼봐야 알겠지만 (갤러리K의) 범죄 사실이 입증되면 사기 피해를 키우는데 가담했다는 도의적 책임도 피할 수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재무설계 관계자는 “현재 법무법인을 통해 적절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며 “피해를 호소하는 소속 설계사들과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남을 추진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재무설계 본사 관계자에 따르면, 대표 A씨는 갤러리K의 사기 의혹이 공론화된 후 자신의 SNS에 올렸던 갤러리K 관련 게시글들을 모두 삭제하고, 최근에는 회사 직원들이 소통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인 사내 밴드방도 폐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갤러리K 사기 사태가 더욱 확산되는 가운데 8일 서울 동대문경찰서는 수사 확대를 위해 사건을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로 이첩했다고 밝혔다.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 제보하기
▷ 전화 : 1661-8995
▷ 이메일 : god8889@itimesm.com
▷ 유튜브, 인스타 뉴스 구독해주세요!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제보] '엔진결함' 멈춰선 액티언 신차.. KGM "교환 안 돼, 법적 기준 미달" 논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단 1건의 기기 결함이어도,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 결함이라면 제조사가 즉각적인 대응과 보상에 나서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하지만 늘 그렇듯 소비자와 기업 사이에는 입장 차이가 존재한다. 갑질/부조리/불공정거래 제보 플랫폼 고발닷컴에는 최근 "KG모빌리티에서 SUV 모델 액티언 차량을 구매한 후 약 5개월만에 주행 중 차가 갑자기 멈춰 큰 사고가 날 뻔했다"는 제보가 접수됐다. A씨에 따르면, 해당 차량은 불과 일주일전 KG모빌리티의 한 서비스센터에서 엔진오일과 에어컨필터도 교체한 상태였다. 제보자 A씨는 "엔진 내 흡기 밸브의 결함으로 엔진이 꺼지고 도로에 차가 멈췄다는 것을 (KG모빌리티 측이) 인정하면서도, ‘3회 이상 동일 증상’이라는 법적 교환 기준 뒤에 숨어 소비자 안전을 외면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KG모빌리티 측은 "갑작스런 상황에 놀랐을 고객님의 마음을 이해한다"면서도 "하지만 처음 발생한 결함이고, 리콜이나 교환은 레몬법이나 내부 기준에 맞는 보상을 해야하는데 그렇지 않아 어렵다"고 설명했다. "반복돼야만 책임".. 위험성인가, 법적 최소 기준인가? KG모빌리티 측이 언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