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중국은행, 돈 '술술' 빠지니 벤츠를 사은품



중국의 주요 은행이 최근 활황세를 보이고 있는 주식과, 고수익 재테크상품에 맞서 벤츠 등 경품을 내걸며 고객 유치에 힘쓰고 있다.

포탈사이트 텐센트(腾讯)의 자체 경제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주요 은행은 최근 고객 유치를 위해 우대금리는 기본이며 해외관광상품, 아이폰6 플러스 등의 경품에 무료로 야채를 제공하는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

실례로 핑안(平安)은행 베이징 모 지행은 지난 10월 3만8천위안(674만원) 이상 금액을 5년간 예치하는 고객에게 이자 대신 아이폰6 플러스 128GB 제품을 제공하는가 하면 90만3천위안(1억6천만원) 이상 예금을 5년간 예치한 고객에게는 벤츠 A180 자동차를 제공하기도 했다.

신문은 "판매가가 25만2천위안(4천472만원)인 벤츠 A180 모델을 제공하면 은행이 고객에게 연이율 7%에 달하는 우대금리를 제공한 것과 마찬가지"라며 "일반 5년 정기예금 상품의 연이율 4%보다 훨씬 높다"고 전했다.

중국 은행이 이같이 경품을 내걸며 자금 유치에 안간힘을 쏟는 이유는 은행권 자금이 주식, 온라인 금융상품으로 빠르게 이탈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 부문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중국 은행에서 이탈한 예금 규모가 9천5백억위안(168조5천870억원)으로 1999년 이후 처음으로 분기별 예금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민은행의 통계에서도 올 11개월간 신규 예금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자금은 은행보다 더 높은 금리를 보장하는 온라인 금융상품이나 활황세를 보이는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갔다. 상하이증권지수의 경우, 지난 6개월간 무려 43%나 폭등하며 은행 예금주들의 자금을 주식시장으로 끌어들였다. 이달 첫주만 해도 새로 주식계좌를 개설한 중국 투자자는 60만명에 달해 전주보다 무려 62%나 증가했다.

알리페이(Alipay, 중국명 支付宝)에서 운영하는 위어바오(余额宝)의 경우에는 출시 15개월만에 5천350억위안(94조9천411억원)의 자금을 모았으며 고객 수는 1억4천9백만명에 달했다. 이같은 고객 수는 프랑스, 영국의 인구 수를 합친 것보다 많다.

또한 지난 9월 30일 기준으로 중국인의 고수익신탁상품 투자 총액은 12조9천억위안(2천289조2천340억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09년 초 이후 10여배나 급증한 것이다.

스탠다드푸얼스(중국명 标准普尔) 베이징대표처 관리자인 랴오창(廖强) 씨는 "중국의 중형, 지역은행은 네트워크가 넓지 않기 때문에 흩어져 있는 고객을 끌어모으기가 쉽지 않아 (주식, 온라인금융상품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다"며 "어쩔 수 없이 재테크상품이나 기업예금, 은행간 차입 등 비용이 높고 불안정한 자금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이 이율 자유화를 추진함에 따라 고객예금 유치 경쟁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이는 은행의 자금코스트(운용하는 자금의 단위당 원가)를 더욱 끌어올려 은행의 이윤에 피해를 입힐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사인용 중국 온바오통신  김용두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기업, 공급망 ESG 평가 의무화 및 녹색 전환 파이낸싱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기업 '테크노비전(TechnoVision)'이 오는 2026년부터 모든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를 의무화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녹색 전환을 위한 파이낸싱 지원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강화되는 전 세계적인 ESG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분석된다. 테크노비전은 이번 발표에서 협력사들이 탄소 배출량 감축, 노동 인권 보호, 윤리 경영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인 ESG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 협력사들이 ESG 전환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ESG 성과 연계형 대출 금리 우대, 녹색 기술 도입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실제적인 변화를 유도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최근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의무가 강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