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7 (목)

  • 흐림동두천 4.1℃
  • 구름조금강릉 12.3℃
  • 서울 6.2℃
  • 인천 7.0℃
  • 천둥번개수원 6.1℃
  • 청주 6.4℃
  • 대전 6.5℃
  • 구름조금대구 10.5℃
  • 전주 7.1℃
  • 울산 12.4℃
  • 광주 7.5℃
  • 부산 9.9℃
  • 맑음여수 11.2℃
  • 구름조금제주 15.9℃
  • 흐림천안 5.7℃
  • 흐림경주시 10.4℃
  • 흐림거제 9.9℃
기상청 제공

경북

문경시, 11월 사진으로 만나는 '문경새재'

깊어가는 가을, 문경새재에서 만나는 옛길의 정취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김재욱 기자 | 경북문화관광공사는 매월 사진으로 만나는 경북 여행지 시리즈의 첫 번째로 문경의 명소, 문경새재 도립공원을 소개했다. 경상북도의 문화와 관광자원을 콘텐츠로 제작하고 소개하는 경북여행리포터단(15명)의 추천으로 선정된 문경새재는 우리나라 옛길의 정취와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가을철 명소로도 유명하다.

 

문경새재는 조선시대 영남대로의 중요한 길목이자, 산과 계곡이 어우러진 장관으로 유명하다. 특히 가을이 되면 울긋불긋 단풍이 주차장부터 3관문까지 통하는 옛길을 따라 이어져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방문객들은 이 길을 따라 옛 조선시대 사람들의 발자취를 되새길 수 있다.

 

또한, 1관문을 지나면 KBS 대하사극 <태조 왕건>의 촬영장으로 건립되어 20여년의 세월동안 전국 유일무이한 조선·고려시대 최대 규모의 촬영장으로 유명한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이 활짝 열려있어 경복궁의 재현된 모습을 즐길 수 있다.

 

◇ 주요 볼거리 및 즐길 거리

 

문경새재 도립공원: 새재길을 따라 이어진 도립공원은 산책과 트래킹에 적합하며, 가을 단풍이 물든 풍경이 일품이다.

 

옛길 체험: 조선 시대부터 이어진 영남대로를 직접 걸어볼 수 있는 기회로, 길 곳곳에 위치한 주막과 최초 한글비석인 산불됴심 비석, 1관문인 주흘관 등 3개 성문이 당시의 생활상을 엿보게 해준다.

 

주변 관광지: 문경 가은읍에 위치한 에코월드는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여행객에게 큰 인기를 끌고있으며, 옛 탄광촌을 기념한 석탄박물관과 가은오픈세트장을 함께 둘러볼 수 있다. 인근 문경읍의 문경온천 등과도 가까워 트래킹의 여독을 푸는 힐링 여행 코스로도 알맞다.

 

특산품: 대표 품종인 '감홍'으로 유명한 문경사과축제는 지난 10월 27일 막을 내렸으나, 문경새재 도립공원에서는 문경사과 특판부스가 11월 초까지 운영되고 있어 새재를 방문한 관광객들은 문경사과를 꼭 맛보길 바란다.

 

가을 정취가 깃든 문경새재는 이번 11월, 여행객들에게 옛길의 아름다움과 여유를 선사할 예정이다.

 

한편 더 많은 경북의 가을 여행지와 사진들은 '경북나드리' 채널에서도 볼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최대호 안양시장, '청계통합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준공 앞두고 현장 점검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안양시는 지난 26일 최대호 안양시장이 의왕시 청계동 소재 청계통합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공사 현장을 방문해 막바지 공사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고 27일 밝혔다. 청계통합정수장은 안양・군포・의왕 지역에 하루 최대 18만 2천톤의 정수를 생산해 공급하는 핵심 시설이다. 이번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공사는 총사업비 417억 원(국비 162억원, 도비 129억원, 시비 126억원)이 투입된 대규모 상수도 기반시설 확충 사업으로, 2021년 7월 착공해 오는 12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이번 공사의 핵심은 기존 표준정수처리 공정에 오존 접촉지와 활성탄 흡착지를 도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맛・냄새 유발물질 등 기존 공정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시민들에게 더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을 찾은 최대호 안양시장은 “청계통합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공사는 안양・군포・의왕 시민들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핵심 사업”이라며, “남은 공정도 안전을 최우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