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17 (목)

  • 흐림동두천 23.6℃
  • 구름많음강릉 21.4℃
  • 흐림서울 24.0℃
  • 흐림인천 18.2℃
  • 구름많음수원 24.5℃
  • 구름많음청주 27.8℃
  • 구름많음대전 28.1℃
  • 구름많음대구 23.6℃
  • 구름많음전주 27.9℃
  • 구름많음울산 20.3℃
  • 구름조금광주 27.3℃
  • 부산 18.1℃
  • 박무여수 16.8℃
  • 흐림제주 21.5℃
  • 구름많음천안 26.6℃
  • 구름많음경주시 23.0℃
  • 흐림거제 18.0℃
기상청 제공
배너

생활/건강

식품의약품안전처, 한눈에 보는 코로나19 백신(2024~2025)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기자 | 2024~2025 동절기 코로나19 신규 백신과 기존 백신의 차이점은?

카드뉴스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mRNA 백신의 작용기전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mRNA 형태로 주입하여 체내에서 항원 단백질을 합성하고, 이 단백질이 중화항체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했을 때 바이러스를 중화해 제거하게 됩니다.

 

재조합 백신의 작용기전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단백질)을 유전자재조합 기술로 제작하고, 이를 체내에 주입하여 중화항체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코로나19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했을 때 바이러스를 중화해 제거하게 됩니다.

 

2024~2025 동절기 코로나19 신규 백신과 기존 백신의 차이점은?

이번 동절기 신규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JN.1)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백신입니다.

 

오미크론 변이(JN.1) 대응 백신의 접종 연령은?

연령대별로 접종하는 백신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연령 : 12세 이상 청소년 또는 성인

· 제품명

[화이자] 코미나티제이엔원주

[모더나] 스파이크박스제이엔주

[노바백스] 노바백스 코로나19 백신(2024~2025 조성)

 

· 연령 : 6개월~4세 영유아

· 제품명

[화이자] 코미나티제이엔원주0.033mg/mL(6개월~4세용)

 

영유아(6개월~4세)에게 투여되는 백신의 투여량과 투여방법은?

영유아용 화이자 백신(노란뚜껑 코미나티제이엔원주)은 0.9% 염화나트륨 주사액을 바이알에 넣고 희석하여 준비합니다. 준비된 주사액을 1회 0.3mL씩 접종합니다. 이 약 1회 투여분에는 유효성분이 3μg(성인용 백신 1회 투여 시 유효성분 30μg 대비 1/10) 포함되어 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은?

코로나19 예방접종후 가장 흔한 이상반응으로 접종부위 발적과 통증이 있으나, 대부분 1~2일 이내에 사라집니다.

아나필락시스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접종 후 20~30분간 접종기관에 대기하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면밀히 관찰 후 귀가합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포항시, '배터리 산업도시 부문' 4년 연속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수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포항시는 1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시상식에서 '배터리 산업도시'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은 지역과 산업, 문화 분야에서 특화된 브랜드의 인지도와 선호도 등을 소비자가 직접 평가해 선정하는 상으로, 2006년부터 매년 개최돼 올해로 20주년을 맞았다. 이번 시상식은 동아닷컴, iMBC, 한경닷컴이 공동 주최했으며, 배터리 산업도시 부문에는 전국 8개 지자체가 후보로 참여했다. 포항시는 브랜드 가치와 마케팅 활동 등 모든 평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대상을 차지했고, 이 부문에 2022년 첫 수상 이후 올해까지 4년 연속 수상이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이어갔다. 포항시는 2017년 에코프로의 지역 투자를 시작으로 2019년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과 함께 관련 기업들이 영일만과 블루밸리 산단에 잇따라 입주하면서 배터리 산업도시로서의 입지를 빠르게 다져왔다. 여기에 지난 2023년 이차전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지난해 이차전지 기회발전특구로 각각 지정되며 산단 인프라 확충과 세제 혜택 등 다각적인 기업 지원도 활발히 이뤄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