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여수 28.0℃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교육/복지

울산교육청, 성과보고회 열어 취업 성공 사례 공유

호주 ‘글로벌 현장학습’ 3년 연속 취업률 100%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김준 기자 | 울산광역시교육청은 올해 직업계고 3학년 학생 20명을 호주로 파견해 ‘글로벌 현장학습’을 진행한 결과 참가 학생 전원이 현지에 취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2022년부터 3년 연속 100% 취업률을 달성하며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글로벌 현장학습’은 직업계고 학생들에게 해외 취업 기회를 제공하여 국제적 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울산교육청은 지난 2012년부터 해마다 호주로 직업계고 3학년 학생을 파견해 영어교육, 직무교육, 현장실습, 문화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올해 참여 학생 20명은 지난 8월 25일부터 11월까지 12주간 호주에서 현장학습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15명이 취업을 완료했고, 나머지 5명은 일시 귀국 후 워킹비자 발급을 거쳐 호주로 출국할 예정이다.

 

울산교육청은 내년 ‘글로벌 현장학습’에 참여할 학생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19일 시교육청 집현실에서 ‘2024년 직업계고 글로벌 현장학습 성과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행사에는 ‘글로벌 현장학습’ 참여 학교장과 참여 학생, 파견교사, 내년 참가 희망 학생 등 60여 명이 참석해 호주 생활과 직무별 교육 영상, 현지 취업생과 기업 대표 인터뷰 등을 시청했다.

 

특히 일시 귀국한 학생들이 호주에서의 체험과 해외 취업 계획을 발표하며 참가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줬다.

 

호주 현지 취업이 예정인 한 학생은 “다양한 문화 속에서 일하며 얻은 경험이 직무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라며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해외에서 어떤 목표를 이루고 싶은지 명확하게 정하고, 책임감을 가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 2학년 학생은 “선배들의 경험담을 들으니 벌써 설렌다. 내년에 꼭 선발돼 해외에서 꿈을 펼치고 싶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천창수 교육감은 “‘직업계고 글로벌 현장학습’은 학생과 학부모 만족도가 매우 높은 만큼, 앞으로도 이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해 더 많은 학생이 해외에서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직업계고 글로벌 현장학습’은 사업비 90% 이상을 교육청에서 지원하고, 해마다 참여 학생 80% 이상이 해외 취업에 성공하며 직업계고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SG 환경과 사회] 디그로스 운동,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부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디그로스(Degrowth, 감성장) 운동이 기후 위기의 대안적 해결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디그로스는 전통적인 경제성장 중심의 발전 모델에서 벗어나 자원 소비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와 사회 정의를 실현하자는 사회적·정치적 운동이다. BBC 등 주요 언론사들은 최근 일주일간 디그로스 운동을 집중 조명하며, "지속적인 경제 성장은 기후 위기를 심화시키며 불평등을 가중시킨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전하고 있다. BBC는 "감성장 운동이 자원 소비 감소를 통해 자연과 사회의 균형을 되찾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디그로스 운동은 특히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큰 관심을 얻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순 철학적 논의에서 실제 정책적 변화를 요구하는 정치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독일 등지에서는 에너지 소비 감축, 친환경적 교통수단 전환, 지속 가능한 농업 및 식량 시스템 구축 등 디그로스를 정책에 반영하자는 요구가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한편, 디그로스 운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디그로스가 현실성이 떨어지고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