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13.6℃
  • 맑음강릉 9.9℃
  • 맑음서울 15.2℃
  • 맑음인천 13.1℃
  • 맑음수원 13.0℃
  • 맑음청주 13.9℃
  • 맑음대전 13.1℃
  • 맑음대구 17.2℃
  • 맑음전주 10.2℃
  • 맑음울산 15.0℃
  • 맑음광주 12.0℃
  • 맑음부산 18.7℃
  • 맑음여수 16.6℃
  • 맑음제주 13.3℃
  • 맑음천안 11.8℃
  • 맑음경주시 15.0℃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배너

[ESG 특집] 주주제안 대폭 확대.. "주총, 서류 통과 시대 끝났다"

주주 제안, 배당 확대부터 집중투표제까지..
2025년 주총, 달라진 풍경 읽기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올해 1분기 정기주주총회에서는 주주 권리 행사가 한층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ESG기준원(KCGS)이 2025년 1분기 상장법인 315개사의 2,127개 안건을 분석한 결과, 반대 권고율은 14.9%로 전년(13.7%) 대비 소폭 증가했다.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주주들의 관심사와 요구가 기업 경영 전반을 더 넓고 깊게 관통하기 시작했다는 신호다.

 

특히, 주주제안은 내용과 범위 모두에서 확장됐다. 과거에는 주로 배당 확대를 요구하는 제안이 중심이었지만 올해는 ▲집중투표제 도입 ▲비핵심자산 매각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임원 보수 투명성 강화 ▲기업지배구조 전반을 겨냥하는 내용이 눈에 띄게 늘었다.

 

 

집중투표에 의한 이사 선임 제안도 51건, 정관 변경을 통한 집중투표제 도입 제안도 5건이나 상정되며 과거 대비 이례적 증가세를 보였다.

 

이익배당과 관련한 주주들의 요구도 강해졌다. 321건의 이익배당 안건 중 10.6%(34건)에서 과소배당을 이유로 반대가 권고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6.6%)보다 4.0%포인트 오른 수치다. 특히 과소배당으로 반대 권고를 받은 기업 중 94%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지 않아, 투자자들이 배당뿐만 아니라 향후 환원 계획의 투명성까지 주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관 변경 안건에서도 주주 권리 보호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졌다. 총 220건의 정관 변경 중 14.1%(31건)에서 반대가 권고됐다. 주주권 희석 우려, 주주권리 보호 미비, 집중투표제 배제 등 기존의 문제 외에도, 서면투표제 폐지 등 주주권 약화로 이어질 수 있는 새로운 이슈들도 경계 대상이 됐다.

 

이사 및 감사 선임 안건에 대한 반대도 늘었다. 사외이사 선임 안건의 반대 권고율은 13.8%로 전년보다 1.1%포인트 높아졌고, 특히 장기 재임으로 인한 독립성 훼손 우려가 반대 사유로 새롭게 부각됐다. 장기재임을 이유로 한 사외이사 반대 사례는 지난해 1건에서 올해 5건으로 급증했다. 감사 선임 반대율 역시 55.9%에 달했다.

 

이사 보수한도, RSU(양도제한조건부주식) 부여,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등 임원 보상 이슈도 새롭게 부상했다. 과거에는 단순히 보수 총액만을 문제 삼았다면, 올해부터는 성과 연계성, 장기 보유 유도 여부, 세부 산정 기준 공개 여부 등 보다 정교한 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RSU 부여와 관련해선 일부 기업이 조건과 지급 방식 등을 공개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이 불투명한 상태다.

 

올해 주총 시즌에서 확인된 또 다른 특징은 '주주제안의 다양화'다. 기존의 배당 확대 요구를 넘어,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자산 매각 계획, 임원 보수 산정기준 공개, 비상무이사 선임 등 다양한 주제의 주주제안이 등장했다. 이는 주주권 행사의 깊이와 폭이 동시에 커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ESG기준원은 "주주총회 및 의결권 행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주환원 및 경영참여 요구가 확산되고 있다"며 "기관투자자뿐만 아니라 일반 소액주주도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시대가 본격화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주주권 강화 흐름 속에서도 여전히 주주가치 제고와 거리가 먼 안건들이 상정되는 경우가 존재하는 만큼, 투자자들은 기업의 배당정책, 정관 변경, 이사 선임 등 주요 안건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2025년 정기주주총회는 단순한 '서류 통과 행사'가 아니라, ESG 경영의 실질적 평가대이자 주주권 강화 시대의 첫 시험대가 됐다. 상법개정안을 통과시키고자 하는 움직임도 계속되는 가운데, 앞으로 기업들이 지배조 리스크에 대한 대응 전략과 주주들의 기대 수준 사이의 간극을 어떻게 좁혀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
▷ 전화 : 1661-8995
▷ 이메일 : god8889@itimesm.com
고발닷컴 제보하기  
▷ 유튜브, 인스타 뉴스 구독해주세요!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