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이슈분석

[ESG] “코리아 디스카운트 벗자”… 밸류업 공시로 몸값 올리는 기업들

시총 50% 기업 참여에 긍정 신호
배당 확대·지배구조 개선으로 주주환원 강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한국 자본시장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탈피를 향한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정부 주도의 ‘밸류업 공시’ 정책에 참여한 상장사들이 전체 코스피 시가총액의 절반에 이를 만큼 늘어난 가운데, 공시 참여 기업들은 시장 평균보다 높은 주가 상승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8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 추진성과와 향후 과제’ 세미나에서 “밸류업 공시에 참여한 상장사는 약 150개로, 시총 기준 전체의 50% 수준”이라며 “이들 기업이 평균보다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일반 주주의 이익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 물적분할 제도 개선, 내부자거래 사전공시, 전환사채·자사주 제도 개선, M&A 절차 정비 등 기업 지배구조 전반에 대한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배당 정책에 있어선 사전 공시 제도 도입에 따른 가시적 성과도 나왔다. 김 부위원장에 따르면, 12월 결산 상장사 2,450개 중 46.4%인 1,138곳이 정관을 개정해 개선된 절차에 맞춘 배당 공시를 시행하고 있으며, 분기배당 기업 중에도 165곳(22%)이 제도 개선에 동참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코스피 상장기업의 현금 배당액은 전년 대비 10.5% 증가, 평균 시가배당률도 0.3%포인트 상승하는 등 주주환원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구조적 한계도 존재한다. 김 부위원장은 “인구 구조 변화와 정치·경제 불확실성으로 성과가 제약되고 있으나, 환경이 개선되면 충분한 반등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해 자본시장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공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강소현 자본시장연구원 실장은 “대체거래소(ATS)와 비상장주식 플랫폼 도입 등으로 시장 접근성이 높아졌다”며 “질적 성장과 정보 투명성 확보, 일반주주 권익 보호가 균형을 이루는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유성 연세대 교수도 “자본시장 불공정 거래에 대한 법적 규제는 상당 수준 정비됐으며, 금융당국의 엄정한 집행력이 신뢰 확보의 핵심”이라며 “향후 신속한 제재와 실효적 조사체계 마련이 남은 과제”라고 덧붙였다.


 

▶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
▷ 전화 : 1661-8995
▷ 이메일 : god8889@itimesm.com
고발닷컴 제보하기  
▷ 유튜브, 인스타 뉴스 구독해주세요!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