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경주“숭덕전, 숭혜전, 숭신전”3전 추향대제 봉행

- 조상들의 정신과 철학을 잇는 살아 있는 유산 재조명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경주시는 지난 23일 추분을 맞아 숭덕전, 숭혜전, 숭신전 등 3전(三殿)에서 박씨·석씨·김씨 후손과 유림이 참석한 가운데 추향대제를 봉행했다.

 

오릉 내 숭덕전에서는 신라 시조왕 박혁거세를 기리는 추향대제가 엄숙히 거행됐다.

 

참석자들은 숭덕문, 조흥문, 홍살문, 숭의문을 거쳐 오릉에 이르러 제향을 올렸으며, 초헌관에는 박영렬(법무법인 대륙아주 변호사), 아헌관에는 박원희(전 참봉), 종헌관에는 박보태(시조왕릉 참봉)가 각각 헌작을 맡았다.

 

‘경주 숭덕전 제례’는 전통 제례 의식과 복식, 제수 음식 등이 오랜 세월 이어져 내려오며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23년 11월 6일 경상북도 무형유산 제51호로 지정됐다.

 

숭덕전은 조선 세종 11년(1429년) 창건 이후 여러 차례 중건됐으며, 현재 건물은 영조 11년(1735년)에 복원된 것으로,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제254호로 지정돼 있다.

 

신라 제13대 미추왕, 제30대 문무왕, 제56대 경순왕을 모시는 숭혜전(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제256호)에서도 추향대제가 거행됐다.

 

미추왕릉에서는 초헌관에 김병호(전 숭혜전 참봉), 아헌관에 김진희(경주향교 장의), 종헌관에 김중배(숭혜전 참봉)가 헌관직을 맡아 제향을 올렸다.

 

내물왕릉에서는 초헌관에 김원주(경주김씨 경주수북청년회 회장), 아헌관에 안순재(경주 삼호상사 대표), 종헌관에 김문석(내물왕릉 참봉)이 각각 헌관으로 참여했다.

 

선덕여왕릉에서는 초헌관에 김월선(경주김씨 경주부녀회 재무), 아헌관에 김미애(경주김씨 경주부녀회 총무), 종헌관에 김옥선(선덕여왕릉 참봉)이 헌관직을 수행했다.

 

태종무열왕릉에서는 초헌관에 김남성(명성영농조합법인 대표), 아헌관에 김병기(강릉김씨대종회 부회장), 종헌관에 김남민(태종무열왕릉 참봉)이 경건한 분위기 속에서 제향을 봉행했다.

 

헌관들은 조상의 뜻을 기리며 후손들의 안녕을 기원했다.

 

숭혜전은 인조 5년(1627년) 동천동으로 이전됐다가 정조 18년(1794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으며, 고종 24년(1887년)에는 미추왕의 위패를, 이듬해 문무왕의 위패를 추가 봉안하면서 ‘숭혜전’이라는 편액을 하사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라 제4대 석탈해왕을 모시는 숭신전(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제255호)에서도 제향이 봉행됐다.

 

초헌관에는 석수덕(태백회장), 아헌관에는 석진갑(현 이사), 종헌관에는 석응수(영주 참봉)가 헌관직을 맡아 제례를 진행했다.

 

숭신전은 1898년(광무 2년) 월성 안에 건립됐다가 1980년 석탈해왕릉 인근 현 위치로 이전됐다.

 

후손들은 조상의 은덕을 기리고 숭조덕업(崇祖德業)의 정신을 계승하는 시간을 가졌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급변하는 현대에도 전통 제례 문화는 그 생명을 이어가야 하며, 신라 시대 이래 이어진 향사는 단순한 의례가 아닌 조상들의 정신과 삶의 철학을 후손에게 전하는 살아 있는 유산”이라며, “앞으로도 시민 모두가 경외와 깊은 애정을 가지고 이 귀중한 전통을 지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춘천시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점검 완료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춘천지역에 지진과 화재가 동시에 발생한 상황을 가정한 대규모 합동훈련이 진행됐다. 춘천시와 춘천소방서는 29일 오후 송암스포츠타운 일원에서 행정안전부 주관 ‘2025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에는 춘천경찰서, 제2공병여단,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대한적십자사 등 15개 기관과 민간단체가 참여했다. 훈련은 규모 5.0의 지진으로 도심 건축물이 붕괴되고 대형 화재가 번지는, 실전을 방불케 한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해 진행됐다. 참여 기관은 인명구조와 화재진압, 응급복구 등 재난 대응 전 과정을 실전처럼 펼쳤으며 △붕괴 건축물 매몰자 구조 △화재 확산 차단 △이재민 구호소 운영 △전기‧가스 등 기반시설 응급복구 등 전 단계를 점검했다. 송암스포츠타운 현장훈련 외에도 같은날 시청 다목적회의실에서는 토론형 모의훈련이 동시에 이뤄져 기관 간 공조체계와 현장지휘 능력을 집중 점검하며 대응체계의 실효성을 확인했다. 또 퇴계주공7단지 주민과 시청 직장어린이집 원아 등 시민 50여 명은 심폐소생술(CPR), 소화기 사용법, 지진대피요령 등을 배웠다. &n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