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주담대 2%·적금 1%..기준금리 인하효과



데일리연합 김준호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초 연 1%대로 낮추면서 은행권의 여·수신 금리 조정도 본격화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는 변동금리 상품과 고정금리 상품을 막론하고 2%대로 잇달아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일찌감치 1%대였던 예금 금리에 이어 적금마저 1%대로 떨어지는 추세다.

15일 은행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은 지난 12일 기준금리가 1.75%로 인하된 후인 여·수신 금리를 일제히 하향 조정하고 있다. 우선 외환은행의 고정금리형 주담대 금리는 기준금리 인하 이튿날인 13일 최저금리가 2.72%, 최고금리가 3.02%까지 떨어졌다. 또 고정금리 주담대와 연동되는 국고채 금리가 기준금리 인하 여파로 급락, 이 영향으로 오는 16일부터는 최고금리마저 2.99%까지 내려갈 전망이다.

다른 은행들 역시 주담대 금리가 일제히 하향세다. 우리은행의 인터넷 상품인 'iTouch 아파트론'의 변동금리형 최저금리는 2.68%까지 떨어졌다. 3~5년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혼합형 기준으로도 최저금리는 2.82%(3년 고정)~2.92%(5년 고정)으로 모두 2%대였다. 오프라인 주담대 상품인 '우리아파트'론 역시 변동금리의 최저 금리는 2.88%였다.

하나은행의 혼합형 주담대(3년 고정 후 변동 전환) 역시 최저금리가 2.9%로 내렸으며, 신한은행의 변동금리형 주담대 최저금리도 2.98%로 각각 2%대에 진입했다.

또 오는 24일 주요 시중은행에서 출시되는 2%대 '안심전환대출'은 주담대 금리 하향세를 더욱 부채질할 전망이다. 이 상품은 정부의 가계부채 구조개선 대책의 일환으로 기존의 변동금리형 주담대를 분할상환형 고정금리로 '갈아타기' 하도록 유도하는 상품이다. 당초 금리는 2.8~2.9%로 예고됐지만, 기준금리 인하로 2.5~2.6%까지 내려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정책형' 상품이라 해도 고정금리 상품이 2%대 중반에 금리가 형성된다면, 변동금리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눈높이는 더 낮춰질 수밖에 없다"며 "안심전환대출을 포함해 2%대 금리의 주담대가 등장하게 되면, '갈아타기'로 빠져나갈 우려가 있는 기존의 고객들을 묶어두기 위해서라도 '울며 겨자먹기'로 모든 은행들이 금리 인하 경쟁에 뛰어들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신 금리 역시 내려가고 있다. 특히 적금마저 1%대에 진입, 소비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기준금리 인하 다음날인 13일 외환은행은 '외환 나이스샷 골프적금'의 금리를 1.9%(이하 1년 기준)로 기존에 비해 0.2%포인트 내렸다. 앞서 KB국민은행의 '가족사랑자유적금'과 한국씨티은행의 '라이프플랜적금' 역시 각각 1.9%와 1.6%로 지난달 말 금리를 내린 바 있다.


온라인이슈팀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성남시 고도제한 완화방안(5개안) 주민설명회 개최, 큰 관심 속 성료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성남시는 27일 오후 2시 시청 온누리에서 ‘제3차 고도제한 완화방안 연구 및 자문 용역’과 관련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고도제한 완화에 관심 있는 주민 약 5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연구용역을 수행 중인 한국항공운항학회의 송병흠 책임연구원 등이 고도제한 완화 5개 방안과 향후 계획을 설명한 뒤 주민들과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신상진 시장은 “성남시 고도제한 완화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 모두가 뜻을 모아 중앙정부에 확고한 의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리 시가 마련한 고도제한 완화 방안 5개안 중 2개안은 국방부가 수용하여 일부 성과가 있었으나 근본적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높이려면 나머지 3개안도 관철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최근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시행령’ 개정으로 8월 26일부터 원도심 재개발·재건축 시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게 된 점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또한, 서울공항 인근 비행안전구역 변경 고시에 따라 야탑·이매 일부 지역의 고도제한이 완화된 것과 관련해 구체적인 단지별 적용 여부를 묻는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