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9 (토)

  • 맑음동두천 -2.6℃
  • 맑음강릉 3.9℃
  • 맑음서울 0.6℃
  • 맑음인천 1.6℃
  • 맑음수원 -1.7℃
  • 맑음청주 0.3℃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1.3℃
  • 맑음전주 -0.2℃
  • 맑음울산 1.8℃
  • 맑음광주 2.2℃
  • 맑음부산 5.2℃
  • 맑음여수 5.9℃
  • 맑음제주 6.0℃
  • 맑음천안 -3.2℃
  • 맑음경주시 -2.7℃
  • 맑음거제 2.1℃
기상청 제공

국제

버려지는 반려동물, 서울서만 한해 1만1400마리

데일리연합 이수연기자] 버려지는 반려동물이 한해에만 1만140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연구원은 지난 2013년 한해 동안 서울에서 발생한 유기동물은 총 1만1395마리로, 이중 절반 이상이 자연사나 안락사로 죽었다고 밝혔다.

17일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인포그래픽스 ‘서울의 유기동물 얼나마 발생하나’에 따르면 2013년 서울에서 발생한 유기동물은 개 7765마리(68.1%), 고양이 3269마리(28.7%), 기타 361마리(3.2%)로 총 1만1395마리다. 이는 전국 유기동물 9만7197마리의 11.7%를 차지한다.

유기동물 발생수는 2010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유기 고양이 수가 크게 준 것으로 분석했다.

유기동물의 45.7%는 주인에게 보내지거나 새로운 주인을 맞이하지만 나머지 53.9%는 자연사나 안락사로 죽음을 맞았다. 

구체적으로 2013년 유기동물 조치현황을 보면 안락사가 36.7%로 가장 높았고, 재입양 27.1%, 주인 반환 18.6%, 자연사 16.2% 순이다. 안락사 비율은 2008년 이후 줄고 있는 추세지만 2013년 전국 유기동물 안락사율(24.6%)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려동물이 버려지는 이유로는 장기간 부재가 25.9%로 가장 많았고, 경제적 문제와 개인사정이 각각 11.6%, 이웃 피해 8.2% 순이었다. 

더불어 지난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서울 시민의 27.4%는 반려동물 사육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진료비 부담(27.3%)을 손꼽았다. 이어 이웃피해 13.3%, 사육시간 부족 12.7%, 위생상 문제 12.2%로 나타났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