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이민호 *수지 예쁜사랑할께요!! -공식열애인정


* 공식열애 인정한 (왼) 배우 이민호 와 (우) 미쓰에이 걸그룹 수지
 
데일리연합 이수연 기자]

연예계에 또 한쌍의 커플이 탄생했다. 열애 보도가 나간지 1시간 20분만의 나온 양측의 공식입장에서 한류스타 '이민호'와 국민첫사랑 '수지'가 열애 사실을 인정했다.
 
이민호와 수지 소속사 측은 23일 오전 "이민호와 수지가 만남을 갖기 시작한지는  1개월 정도 됐다. 현재 조심스럽게 서로 호감을 가지고 만나고 있다"면서 "따뜻한 시선으로 지켜봐 주시면 좋겠다"는 공식입장을 밝혔다.

앞서 이민호와 수지의 열애는 이날  수지와 이민호의 런던 데이트 모습을 포착되어 열애사실이 보도되며 알려졌다.

그러나 화보촬영등의 모든 일정이 끝난 이후 이들은 15일 런던에서 만남을 가졌고, 이곳에서 시간 차이를 두고 이동하며 은밀한 데이트를 즐겼다는 것.

이민호와 수지 두사람은 지난달 23일 이후 거의 매일 만났으며 지난달 25일엔 서울 남산에서, 유럽에선 2박 3일 동안 달콤한 데이트를 즐겼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서 수지 측 관계자는 "수지와 이민호 모두 스케줄이 있어 런던과 파리를 갔고 스케줄을 마치고 런던에서 함께 만난 것"이라고 귀띔했다.

한편 1987년생인 이민호는 2009년 드라마 ‘꽃보다 남자’에서 주인공 구준표 역할로 발탁되며 일약 스타덤에 올랐고, 국내는 물론 중화권에서의 인기 역시 수년째 톱을 지키고 있는 한류스타로 성장했다.

1994년생인 수지는 2010년 걸그룹 ‘미쓰에이’로 데뷔, 영화 ‘건축학개론’의 성공으로 ‘국민 첫사랑’이란 타이틀을 거머쥐며 톱스타 반열에 올랐다. 그는 영화 드라마 가요 예능 등 대중문화계의 전 분야를 휩쓰는 유일한 스타로도 꼽히고 있다.


<이하 스타하우스엔터테인먼트 공식입장 전문>

안녕하세요. 스타하우스 엔터테인먼트입니다.
오늘 타 매체를 통해 공개된 보도내용과 관련하여 답변 드립니다.
두 사람이 만난 것은 1개월 정도 됐으며, 현재 조심스럽게 서로 호감을 가지고 만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두 사람 모두를 따뜻한 시선으로 지켜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기업, 공급망 ESG 평가 의무화 및 녹색 전환 파이낸싱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기업 '테크노비전(TechnoVision)'이 오는 2026년부터 모든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를 의무화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녹색 전환을 위한 파이낸싱 지원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강화되는 전 세계적인 ESG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분석된다. 테크노비전은 이번 발표에서 협력사들이 탄소 배출량 감축, 노동 인권 보호, 윤리 경영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인 ESG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 협력사들이 ESG 전환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ESG 성과 연계형 대출 금리 우대, 녹색 기술 도입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실제적인 변화를 유도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최근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의무가 강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