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90분간 통화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문제를 논의했다. 그러나 당초 기대됐던 ‘30일 전면 휴전’ 대신 ‘에너지 인프라 공격 중단’에만 합의하면서 부분적 휴전으로 결론이 났다. 푸틴 대통령은 미국이 제안한 ‘30일 휴전안’은 우크라이나군 재정비 시간을 벌어줄 뿐이라며 거부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의 에너지 인프라 공격 중단을 제안했고, 푸틴 대통령은 즉각 러시아군에 해당 명령을 내렸다. 크렘린궁은 성명을 통해 “양국이 세계 안보를 위해 협력할 책임이 있다”며 “경제·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에너지·인프라 휴전이 시작되며, 향후 흑해 해상 휴전과 전면적인 종전 협상을 위한 논의가 중동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협상 참여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일단 이번 합의를 지지한다”면서도 “푸틴 대통령이 완전한 휴전 제안을 거부했다”며 러시아의 종전 의지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통화해 협상 내용을 자세히 듣겠다”고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원조를 전면 중단하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공중 및 해상에서의 즉각적인 휴전 가능성을 언급하며 미국과의 협력 강화를 모색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는 이에 대한 반발과 배신감이 커지고 있다. 젤렌스키 "미국 지원 중단 유감…공중·해상 휴전 가능" 젤렌스키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엑스(X·구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우리 가운데 누구도 끝없는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 지속적인 평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전쟁을 끝내기 위해 신속히 일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1단계로 포로 석방과 공중에서의 휴전, 즉 미사일·장거리 드론·에너지 및 민간 인프라에 대한 공격 금지, 해상에서의 즉각적인 휴전을 시행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다만 "러시아도 이에 동의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제안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언급한 영국·프랑스의 ‘1개월 공중·해상 휴전’ 계획과도 연결된다. 백악관 설전 후 수습…미국과 협력 강조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의 군사 원조에 대한 감사를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6주간의 휴전에 돌입하며, 첫날 인질과 수감자 교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현지 시각 19일 오전 11시 15분, 양측은 예정된 시간보다 약 3시간 늦게 휴전을 발효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 여성 인질 3명을 석방했으며, 이들은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에 의해 납치된 20~30대 여성들로, 471일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이스라엘은 이에 대응하여 팔레스타인 수감자 90명을 석방했다. 양측은 향후 6주간 교전을 중단하고, 추가적인 인질 및 수감자 교환과 영구적 휴전을 위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국제사회는 이번 휴전을 환영하며,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은 외교적 노력의 결과로 휴전이 성사되었다고 평가했다. 영국의 리시 수낵 총리와 독일의 올라프 숄츠 총리도 인질들의 무사 귀환을 축하하며,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노력을 강조했다.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15개월간의 교전 끝에 42일간의 휴전에 합의했다. 양측은 3단계에 걸친 휴전 계획을 마련했다. 첫 단계로 하마스는 인질 33명을 석방하며, 이에 대응해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수감자 최대 1,650명을 석방할 예정이다. 또한,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철수도 논의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이번 합의에 대해 "중동에서 인질들을 위한 합의에 도달했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2023년 10월 7일, 하마스는 이스라엘에 대한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이에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 대한 대대적인 공습과 지상 작전을 전개했다. 이로 인해 가자지구에서는 약 4만 6,000명의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했으며, 이스라엘 측에서는 약 840명의 군인이 전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가자지구 인구의 약 90%에 해당하는 190만 명이 넘는 주민들이 집을 떠나 피난 생활을 하고 있으며, 주요 인프라와 주택이 심각한 파괴를 입었다. 이번 휴전 합의로 인해 양측의 충돌이 일단락될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평화 협상과 재건 과정에서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