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반값 할인'? 그럼 원래가격은?


[데일리연합 이주영 기자]마트 등 수 많은 소매점이 빙과·과자·라면 등 판매대 앞에 이 같은 문구를 내걸고 있지만, 원래 가격을 제대로 표시하지 않는 식품 제조업체들 때문에 소비자가 실제로 얼마나 싸게 사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9일 소비자문제연구소 컨슈머리서치에 따르면 대형마트 등 시중에서 판매되는 10개 업체 186개 품목의 과자·라면·아이스크림을 조사한 결과, 105개(56.5%)에 권장소비자가격 표시가 없었다. 2년전인 2013년 5월 같은 조사(동일 품목) 당시와 비교해 권장소비자가격 미표시율이 39.8%에서 56.5%로 오히려 16.7%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권장소비자가격 표기 의무는 지난 2010년 7월 최종 판매업자의 자율경쟁을 유도한다는 취지의 '오픈 프라이스(Open Price)' 제도가 도입되면서 없어졌다. 하지만 이후 가격이 지나치게 오르고 '할인율 뻥튀기'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오픈 프라이스 제도는 1년만인 2011년 7월 폐지됐고, 당시 식품업체 관계자들은 주무부서(산업통상자원부)와의 간담회 자리에서 "권장소비자가격을 자율적으로 다시 표기해 정부 물가 안정책에 협조하겠다"고 밝혔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업체들의 참여가 저조해 약 4년이 지금까지 권장소비자가격이 제대로 부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식품 종류별로는 과자류의 가격 표시율이 2013년 77%에서 올해 53.3%로 23.5%포인트나 떨어졌고, 라면도 51.5%에서 45.5%로 6%포인트 하락했다. 

최현숙 컨슈머리서치 대표는 "최근 식품업체들이 가격을 잇따라 인상하고 있는데, 권장소비자가격이 없는 상태에서는 소비자가 아예 가격 인상 자체를 눈치채지 못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대체 정확히 얼마나 오른 것인지도 짐작하기 어렵다"며 "오픈 프라이스의 폐해가 심각해 정부가 제도를 폐지한 만큼, 권장소비자가격을 식품업체의 자율에 맡겨 두지 말고 좀 더 적극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이슈분석] 생성형 AI, 혁신인가 거품인가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지난 2년간 인공지능(AI), 특히 생성형 AI는 전 세계 기술 산업의 중심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이미지·텍스트 생성형 모델이 잇따라 공개되면서 산업 전반에 파급효과를 일으켰고, 투자자들은 앞다투어 자금을 투입했다. 일부 스타트업은 창업 2~3년 만에 기업 가치가 수십억 달러까지 치솟으며 ‘차세대 유니콘’으로 불린다. 대형 테크 기업 또한 자체 AI 모델을 앞세워 클라우드 서비스·검색·생산성 소프트웨어 등에 통합하면서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섰다. 그러나 최근 연구는 이 화려한 겉모습 뒤에 ‘실질적 성과 부재’라는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음을 보여준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 AI에 투자한 기업 중 약 95%가 아직 의미 있는 매출이나 시장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기술적 시연은 혁신적이지만,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닷컴 버블 데자뷔” vs “장기 성장의 초입”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AI 열풍이 과거 닷컴 버블을 떠올리게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인터넷의 잠재력은 분명했지만, 시장 검증 없이 기업 가치가 급등했고 결국 상당수가 붕괴했다. 당시 살아남은 기업은 아마존, 구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