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3.11.22 (수)

  • 구름많음동두천 12.1℃
  • 구름많음강릉 15.3℃
  • 흐림서울 11.9℃
  • 구름많음인천 13.0℃
  • 구름많음수원 10.3℃
  • 흐림청주 11.3℃
  • 흐림대전 9.1℃
  • 구름많음대구 8.4℃
  • 흐림전주 11.6℃
  • 구름많음울산 13.5℃
  • 흐림광주 13.9℃
  • 구름조금부산 15.0℃
  • 구름많음여수 12.9℃
  • 구름조금제주 13.5℃
  • 흐림천안 8.1℃
  • 구름많음경주시 6.8℃
  • 구름많음거제 15.0℃
기상청 제공

교육/복지

(사)국제청소년문화교류연맹, ‘희망꿈나무아카데미’ 14개국 120여명 경북체험여행 성료

국제청소년문화교류연맹 주관, 경상북도 후원, '희망꿈나무아카데미' 10월17일~22일 (5박6일) 진행
국내 거주하는 고려인, 새터민, 인도, 미얀마, 파키스탄, 중국동포, 학교밖 청소년, 지구촌학교 학생들 14개국 다문화 청소년 문화교류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용두 기자 | 사단법인 국제청소년문화교류연맹이 주관하고 경상북도가 후원한 ‘희망꿈나무아카데미’가 지난 17일 ~ 22일 성황리에 마무리 되었다.

 

2022년 희망꿈나무아카데미에는 국내에 거주하는 고려인, 새터민, 인도, 미얀마, 파키스탄, 중국동포, 학교밖청소년, 지구촌학교 학생들 14개 국가 120여 명의 다문화 청소년들이 참여하였다. 10월 17일부터 22일까지 5박 6일의 여정으로 경상북도 지역 경주, 포항, 울릉도, 독도 등의 문화유적지를 방문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들에게 대한민국의 역사 유산과 지역을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첫날인 17일은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 방문하고 이번 행사를 후원한 경상북도청을 견학하였다. 이어 18일에는 포항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호미곶을 방문하였고, 19일은 영덕의 장사해수욕장을 방문하여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을 견학하였다. 이후 울진의 후포항에서 출발하여 울릉도에 입항하였고, 코끼리바위 등 울릉도의 아름다운 자연을 체험하였다. 20일에는 대한민국의 영토인 독도를 방문한 후 울릉도로 돌아와, 21일 울릉도에서 나리분지를 방문하고 성인봉을 등정하였다.

 

 

이번 행사는 다문화 청소년들에게 한국의 유산과 문화를 알리고, 다양한 한국 음식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더불어 청소년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경안여고 학생들과의 K-POP교류와 울릉도 동광교회 다문화 학생들과의 축구경기 등을 통해 서로 다른 국적을 가진 청소년들이 화합하는 시간을 가졌다. 다문화 청소년들이 경상북도의 아름다운 자연을 직접 느끼고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마음과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에 대한 올바른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뜻깊은 시간이 될 수 있게 하였다.

 

이번 행사는 경상북도, 현대자동차, 오뚜기, LG생활건강, (사)SNS기자연합회, 수출입은행, 부산은행 등의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가장 많이 본 뉴스


SNS TV

더보기

배너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서울권 대학에 관한 풍부한 입시 노하우 '뮤지크 실용음악학원' 김일영 원장을 만나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주기범 기자 | ◇ 뮤지크 실용음악학원 김일영 원장 인터뷰   Q 뮤지크 실용음악학원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서울권 대학에 관한 풍부한 입시 노하우가 있는 해운대 장산에 있는 실용 음악학원의 김일영 원장입니다. 취미반과 입시반으로 운영되며 무엇보다 질 높은 음악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가장 우선시하고 있는 전문 음악학원입니다. 저는 프로듀싱, 작곡가, 편곡가, 기타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뮤지션입니다. 영화음악, 연극음악, 뮤지컬, 대중음악, 재즈, 퓨전국악, 크로스오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TENSOUND라는 음악 콘텐츠 제작 업체의 대표이자 현재 백석대학교 대학원의 겸임교수로 다양한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Q 뮤지크 실용음악학원을 설립하시게 된 동기와 사유는 무엇일까요? A 저는 부산 출신 뮤지션이지만 주로 서울의 음악 필드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활동하다 보니 자연스레 서울과 부산의 음악교육이나 음악 수준의 격차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을 많이 가지게 됐습니다. 부산에 있는 학생들이 서울이나 수도권의 음악교육과 다양한 정보에 뒤처져 있는 현실을 오랫동안 지켜봐 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