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해군
7월 9일 미국‘워리어 엑스퍼트(The Warrior Expert)’사이트가‘세계 10대 해군’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보도에 따르면 해상 통로가 개통된 이래 사람들은 해양을 쟁탈하고 있었으며 해상 파워 투입능력은 모든 국가의 힘을 과시하는 표지적 특징으로 됐다. 아래의 리스트는‘글로벌 화력’망의 2018년 군력 랭킹 숫자에 따른 것으로 단순하게 그들이 소지한 해군 자산 수량에 따라 각국들에 대해 랭킹을 편집했다. 그 중에는 지원선, 순시선, 경량 호위함, 구축함, 호위함과 항공모함 등이 포함됐다. 항모란 전통적 항모와 ‘헬기 항모’ 모두를 의미한다.
10. 인도네시아,221척
인도네시아의 221척 군함에는 호위함 8척, 경량 호위함 24척, 잠수함 3척, 순시선 74척과 수뢰 기뢰함정 12척이 포함됐다. 2017년 초반까지 인도네시아와 몇개 외국 조선사들이 더욱 많은 잠수함 증가 사무를 상담했으며 2027년전까지 잠수함 8척을 증가할 계획이다. 2017년 8월 인도네시아는 34년 시간의 첫번째 신형 공격잠수함을 편입시켰다.
9.콜롬비아, 234척
콜롬비아는 남미주 대륙에서 유일하게 대서양 해안과 태평양 해안을 동시에 가직 있는 국가로서 그들의 해군 자산에는 호위함 4척, 경량 호위함 1척, 잠수함 11척과 순시선 55척을 포함되어 있다.
8. 핀란드, 270척
핀란드는 발트해에 인접하고 러시아와 스웨덴 가운데 위치했다. 이 나라에는 함정 270척이 있는데 그 중에는 순시선 8척, 기뢰함정 18척이 있으며 그외 상륙정, 수송선 및 예인선과 케이블 부설선 등 기타 함선이 있다.
7. 인도, 295척
현재 인도에는 함정 295척이 있는데 그 중에는 항공모함 1척, 호위함 14척, 구축함 11척, 경량 호위함 22척, 잠수함 16척, 초계기 139척과 기뢰함정 4척이 포함됐다.
6. 이집트, 319척
이집트 해군에는 상륙 공격함 2척, 호위함 9척, 경량 호위함 4척, 잠수함 6척, 순시선 53척와 기뢰함정 23척이 포함됐다. 최근연간 이집트 해군은 이미 양해(두바다) 역량으로 발전했으며 갈수록 홍해에서 더욱 광범위한 작용을 발휘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잠수함과 대잠수함 및 반해적 그리고 반테러 작전에서 더욱 중시를 얻고 있다.
5. 러시아, 352척
현재 러시아 해군은 함정 352척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는 항공모함 1척, 호위함 9척, 구축함 13척, 경량 호위함 78척, 잠수함 62척, 순시선 41척과 기뢰 함정 47척이 포함됐다. 러시아 해군은 또 중점을 비핵 억지전략에 제공하기 위한 장거리 정밀 유도무기 배치에 두고 있다.
4. 이란 398척
다년간 제재와 금수가 이란의 해군 확충능력을 제한했다. 이란의 398척 함정 대부분은 순시선으로서 순시선이 230척이 된다. 이란은 또 호위함 5척, 경량 호위함 3척, 잠수함 33척과 기뢰 함정 10척을 가지고 있다. 이란은 2017년마 2018년에 구축함 한척을 증가하기를 희망하며 핵동력 전함과 잠수함을 연구 개발중이다.
3.미국, 415척
비록 수량적으로는 제3위이지만 미국 해군은 일반적으로 최강으로 인정되고 있다. 미국이 소지한 415척 군함중 항공모함 20척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다. 그리고 호위함 10척, 구축함 65척, 잠수함 66척, 순시선 13척과 기뢰함정 11척을 가지고 있다. 최근연간 미국 해군은 함정을 일부 증가했는데 그중에는 ’포드’급 항공모함(Gerald R. Ford-class aircraft carriers)중 첫번째로 되는 최신형 항공모함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은 또 신형 다용도 스텔스 전함, ‘주뭄월트’급 구축함(Zumwalt-class destroyer) 및 2종의 해안 전투함을 개발했다. 최신형 ‘버지니아’급 공격성 잠수함(Virginia-class SSN),’콜로라도’호(USS Colorado)가 올해 3월 군에 복무하기 시작했다.
2. 중국, 714척
최근연간 중국 해군도 신속하게 발전했다. 중국의 714척 해군 자산중 항공모함 1척, 호위함 50척, 구축함 29척, 경량 호위함 39척, 잠수함 73척, 순시선 220척과 기뢰 함정 29척이 들어있다. 중국은 또 선진적인 디젤, 전기동력 잠수함을 신속하게 취득했다. 이는 중국으로 하여금 태평양과 인도양에서 발사 실력을 가질수 있게 했다.
1. 북한(조선), 967척
북한 해군은 규모가 최대이다. 그러나 상규 군사력, 특히 해군이 자원이 결핍하다. 967척 함정중 호위함 10척, 경량호위함 2척, 잠수함 86척, 순시선 438척과 기뢰 함정 25척이 포함됐다. 그러나 이러한 함정들이 다수 상황에서 품질이 낮고 보수가 잘되지 못하고 있다. 북한은 또 자기의 잠수함부태에 거액의 자금을 투입해 북한의 잠수함부태가 세계 최대로 되게 했다. 팬타곤은 2015년 북한에 잠수함 70척이 있는 것으로 추측했다. 비록 이러한 잠수함들중 다수가 이미 시기 지난것으로 인정됐지만 북한은 확실히 고래(Gorae)급 탄도 미사일 잠수함 한 척을 가지고 있다.
美国“勇士专家”网站7月9日发表题为《世界十大海军》的报道称,自海上通航以来,人们就在争夺海洋,而跨越海洋投射力量的能力是任何国家力量的标志性特征。下面的名单根据“全球火力”网2018年军力排名的数据,单纯按照它们拥有的海军资产数量对国家进行排名,包括支援船、巡逻船、轻型护卫舰、驱逐舰、护卫舰和航母等——航母既指传统航母也指“直升机航母”。
10.印尼——221艘
印尼的221艘军舰包括8艘护卫舰、24艘轻型护卫舰、3艘潜艇、74艘巡逻艇和12艘水雷战舰艇。
截至2017年年初,印尼与几家外国造船公司商讨增加更多潜艇的事宜,并打算在2024年前增加8艘潜艇。2017年8月,它在34年里的第一艘新型攻击潜艇入列。
9.哥伦比亚——234艘
哥伦比亚是南美洲唯一既拥有大西洋海岸又拥有太平洋海岸的国家,其海军资产包括4艘护卫舰、1艘轻型护卫舰、11艘潜艇和55艘巡逻艇。
8.芬兰——270艘
芬兰濒临波罗的海,位于俄罗斯和瑞典之间。它拥有270艘舰艇,包括8艘巡逻艇和18艘水雷战舰艇,此外还有登陆艇、运输船以及拖船和敷缆船等其他船只。
7.印度——295艘
印度目前拥有295艘舰艇,包括1艘航母、14艘护卫舰、11艘驱逐舰、22艘轻型护卫舰、16艘潜艇、139艘巡逻机和4艘水雷战舰艇。
6.埃及——319艘
埃及海军包括2艘两栖攻击舰、9艘护卫舰、4艘轻型护卫舰、6艘潜艇、53艘巡逻艇和23艘水雷战舰艇。
近年来埃及海军已经发展成为一支两海力量,并日益向在红海发挥更广泛作用的方向发展。潜艇和反潜作战以及反海盗和反恐作战获得更多重视。
5.俄罗斯——352艘
俄罗斯海军目前拥有352艘舰艇,包括1艘航母、9艘护卫舰、13艘驱逐舰、78艘轻型护卫舰、62艘潜艇、41艘巡逻艇和47艘水雷战舰艇。
俄海军目前还将重点放在部署远程精确制导武器,以提供一种非核战略威慑形式。
4.伊朗——398艘
多年的制裁和禁运限制了伊朗扩充海军的能力,其398艘舰艇大部分是巡逻艇,有230艘。它还拥有5艘护卫舰、3艘轻型护卫舰、33艘潜艇和10艘水雷战舰艇。
伊朗在2017年底表示,希望在2018年增加1艘驱逐舰,而且它正在研发核动力战舰和潜艇。
3.美国——415艘
尽管在数量上排名第三,但美国海军通常被认为是最强大的。
在美国拥有的415艘军舰中,有20艘航母——世界上最多,10艘护卫舰、65艘驱逐舰、66艘潜艇、13艘巡逻艇和11艘水雷战舰艇。
近年来美国海军增加了一些舰艇,包括最新型航母——“福特”级航母中的第一艘。
它还研发了一种新型多用途隐形战舰——“朱姆沃尔特”级驱逐舰以及两类濒海战斗舰。最新型“弗吉尼亚”级攻击潜艇“科罗拉多”号于今年3月开始服役。
2.中国——714艘
近年来中国海军也迅速发展,在其714艘海军资产中,有1艘航母、50艘护卫舰、29艘驱逐舰、39艘轻型护卫舰、73艘潜艇、220艘巡逻艇和29艘水雷战舰艇。
中国还迅速获得了先进的柴电动力潜艇,这使其能够在太平洋和印度洋投射实力。
1.朝鲜——967艘
朝鲜海军规模最大,但常规力量——尤其是海军——资源匮乏。
在967艘舰艇中,有10艘护卫舰、2艘轻型护卫舰、86艘潜艇、438艘巡逻艇和25艘水雷战舰艇,这些舰艇在大多数情况下质量低劣,维修不善。
朝鲜还在其潜艇舰队上投入巨资,这支潜艇舰队是世界上最大的。五角大楼在2015年估计朝鲜有70艘潜艇。虽然这些潜艇中有许多被认为已经过时,但朝鲜的确拥有一艘Gorae级弹道导弹潜艇。
/央视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