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여가부, 설맞이 가족프로그램ㆍ명절문화 캠페인 진행 -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장관 강은희)는 가족이 함께 명절 먹거리를 준비하고 함께 즐기는 '가족 모두 행복한 설'을 위한 다채로운 가족프로그램과 명절문화 캠페인을 진행한다.

우선, 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www.familynet.or.kr)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www.liveinkorea.kr)를 통해 윷놀이 등 전통놀이 체험, 떡국 등 명절음식 만들기, 차례상 차리기 등 다양한 가족참여 프로그램(2월 중)을 진행한다.

특히, 아직 한국문화가 낯선 다문화가족을 위해 자녀와 함께하는 떡국 만들기, 엄마ㆍ아빠 나라 명절 알기, 설맞이 다문화 노래자랑 등 다채로운 가족행사도 마련됐다.

아울러, 여성에게 집중된 명절 가사를 가족이 나눠 모두가 즐거울 수 있도록 '가족이 함께 만드는 행복한 명절' 캠페인도 전개한다.

맞벌이 가정이 늘고 남녀 성 역할에 대한 사회인식이 변화하면서 가족 내 양성평등 문화가 점차 정착되고 있지만, 아직 명절 준비 관련해서는 여성들의 부담이 큰 것이 사실이다.

이에 여성가족부는 세 가지 실천 약속을 담은 '가족과 함께 만드는 행복한 명절' 홍보영상을 제작해 지하철(2호선)ㆍKTX 내부 모니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산시키고, 여성가족부 페이스북과 블로그, 공익포털사이트 위민넷(www.women.go.kr)을 통해 실천다짐 댓글달기, 가족사진 공모전 등이 포함된 온라인캠페인(2.3.∼23.)을 진행한다.

특히,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은 명절문화 캠페인을 확산하고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설 연휴를 앞둔 2월 2일(화) 오후 4시 관악구 '건강가정ㆍ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해 다문화·한부모 가족 등과 함께 '우리 가족 다복(多福) 소망주머니 만들기' 체험을 함께한다.

이 자리에서 강은희 장관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족들과 각 가정의 명절풍경, 명절 애로사항, 새해 소망 등을 함께 나눌 예정이다.

강은희 장관은 "모든 가족이 적극적으로 함께 가사를 분담하고 즐기는 명절문화를 만들어 가는 것이 명절을 행복하게 만드는 작은 실천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작은 실천을 통해 가족 모두 행복한 명절을 맞이할 수 있도록 국민들께서 많은 관심을 갖고 동참해 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한은, 기준금리 동결…물가 안정 우선, 성장 둔화 우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8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는 결과이나, 최근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물가 안정에 대한 한국은행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다소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핵심 물가의 상승 압력도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 흐름과 경제 성장 전망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이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기업 투자도 감소하고 있다.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것임을 시사했다. 물가 안정과 경기 성장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며, 향후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금리 인상 또는 추가적인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