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존 켈리 "북한 위협 관리 가능"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미국 백악관의 2인자로 알려진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이 현재의 북핵 위협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외교적인 해법을 강조했다. 
 
 
켈리는 글로벌 현안으로 북한과 이란의 핵위협을 꼽았다. 
 
 
특히 북한은 ICBM 능력을 상당히 개발해왔고, 핵 재진입 수단도 개발하고 있어 미국인들이 우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북한이 미 본토에 도달할 핵미사일 능력은 갖출 수 없다고 믿는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현재 북핵 위협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외교적 해법을 강조했다.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 역시 "외교는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활동의 거대한 부분"이라고 밝혔다. 
 
 
켈리 비서실장의 발언과 같은 맥락으로 미국의 대북정책이 아직은 외교적 해법에 방점이 찍혀 있음을 재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