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미국 의회, 대북제재 '웜비어 법' 통과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미국 의회가 북한을 국제금융체제에서 완전히 봉쇄하는 초강경 세컨더리 보이콧 법안을 통과시켰다. 
 
 
미 하원이 본회의를 열고, 북한과 거래하는 외국의 금융기관과 기업을 상대로 미국 주도 국제금융체제에서 접근을 봉쇄하는 북핵제재법을 압도적 표차로 통과시켰다. 
 
 
상임위인 금융위를 통과했던 법안에 모든 규제를 행정부의 의무사항으로 규정하는 초강경 제재 수위로 높였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를 이행하지 않는 국가에 대한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기구의 지원도 금지했다. 
 
 
해외 파견 북한 노동자를 고용한 외국기업도 제재 대상에 올렸다. 
 
 
사실상 중국의 기업과 은행을 정조준하면서 동남아, 아프리카 등 북한과 거래하는 또 다른 국가들까지 포함시킨 것. 
 
 
법안 명칭은 '오토 웜비어 북핵제재법'으로 바꿔 북한의 인권 유린 상황도 널리 알리게 됐다. 
 
 
미 하원의 이번 대북제재 법안 처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한중일 순방을 앞두고 이뤄졌다. 
 
 
트럼프가 중국에게 독자적 대북 제재를 요구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의회도 북한 고립을 위한 전방위 압박에 보조를 맞춘 것으로 보인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