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미국 "대북제재로 북한경제 압력 신호"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군부 일각을 포함한 북한 경제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미국 측이 처음으로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정상회담이 끝난 뒤 브리핑에 나선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유엔 등 국제사회의 제재가 군부 일각까지 포함한 북한 경제에 타격을 주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또 제재의 여파로 북중 국경지대의 많은 사업체가 폐쇄되고 있다고도 했다.

중국과의 호흡도 강조했다.

이런 신호는 중국 측과 공유한 것이며, 시 주석도 북한 정권이 제재의 완전한 영향을 느끼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전했다.

다만 북한에 결정적 타격을 가할 수 있는 대북 석유공급 중단 요청 여부에 대해선 답변하지 않았다.

2박 3일간의 방중 일정을 마치고 베트남으로 떠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신의를 거듭 확인했다.

한편 미국 측이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북한 경제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공식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