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미국 공항검색대 보안 "3차원 투시 장비 도입"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미국 공항의 보안 검색대에서 총기나 칼 등 금지 품목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는 등 허점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보안 당국은 새로 개발된 3D 투시 검색기가 이런 허점을 메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미국 보안 당국의 암행 요원들이 무기류를 휴대하고 공항 보안 검색대 통과를 시도한 결과, 보안 검색 실패율이 80% 정도로 나타났다.

2년 전 같은 시험에서 95%나 실패했던 것에 비하면 개선된 결과지만, 여전히 항공기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미국 보안 당국은 이런 허점을 막기 위해 최근 새로운 3차원 투시장비 도입을 추진 중으로 알려졌다.

일반 X레이 투시기에서는 좀처럼 눈에 띄지 않는 칼도 투시 방향을 이리저리 돌려 볼 수 있는 3D 검색기에서는 명백히 드러난다.

병원에서 사용하는 CT 촬영장비처럼 360도 전 방향에서 투시하기 때문에 가방을 열어 내용물을 검사할 필요가 없다.

이에따라 총기나 폭발물 등 휴대 금지 품목은 다른 색깔로 표시돼 보안 검색 요원들이 무심코 지나치는 실수도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