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소득불평등 방치하면 재앙 일어날 것"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소득분배를 연구하는 세계 학자 100여 명이 공동보고서를 발표했는데, 그 내용이 충격적이다.


강대국이자 선진국이라고 자부하는 미국, 그것도 금융의 중심지에서 벌어진 이 운동은 소득 불평등을 문제 삼는다.


소득분배를 연구하는 세계 학자 100여 명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 1%와 하위 50%가 차지하는 소득 비중이 지난 30여 년간 완전히 뒤바뀌었다.


미국뿐만이 아니다.


전 세계로 따졌을 때, 소득 상위 1%가 지난 1980년부터 2016년 사이 늘어난 부 가운데 차지한 비중은 27%에 달하는데, 같은 기간 소득 하위 50%에게 돌아간 부는 0%에 가까웠다.


국가별로 보면 소득 상위 10%가 차지하는 비중은 중동이 61%로 가장 높았고, 미국-캐나다 47%, 중국 41% 등의 순이었으며 유럽은 상대적으로 낮은 37%였다.


학자들은 2050년에는 상위 1%가 차지하는 부의 비중이 전체 부의 절반에 육박하는 40% 가까이 될 거라고 예측했다.


각 국가가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재앙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학자들이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 국가별 현황에는 한국의 소득불평등 자료도 나오는데, 1996년 국가 전체 소득에서 상위 1%는 7.3%, 상위 10%는 32.6%를 차지했는데 2012년에는 각각 12.3%, 44.2%로 늘어났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