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강남 문화한마당’ 개최...최신 콘텐츠와 전통문화 함께 즐겨요!

9월 21일 코엑스 동측 광장에서 7개 기업의 콘텐츠·게임문화, 국가무형유산 명인의 전통문화 체험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박해리 기자 | 꿈이 모이는 도시, 미래를 그리는 강남구가 오는 9월 21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코엑스 동측 광장에서 ‘2024 강남 문화한마당’을 개최한다.

 

이 행사는 강남구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신개념 문화 축제다. 강남구는 캐릭터·게임 산업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기업들과 삼성동에 위치한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그리고 20개의 구립 도서관 등 풍부한 문화 인프라를 활용해 최신 콘텐츠 산업과 전통문화, 일상 속 생활문화를 한데 모은 축제를 마련했다. 이번 축제는 ▲문화콘텐츠한마당 ▲전통문화한마당 ▲도서한마당 ▲문화예술한마당 ▲이벤트한마당으로 구성된다.

 

문화콘텐츠한마당에서는 강남구에 소재한 ㈜오뚜기, ㈜멜로우빈, ㈜우주랩, 레드브릭, 서커스컴퍼니, ZZALKAK, ARTNWORK 등 7개 기업이 참여해 다양한 콘텐츠와 체험 이벤트를 선보인다. 각 기업의 캐릭터를 활용한 게임, 사진, 컬러링, AR 체험, 굿즈 등을 체험할 수 있으며, ㈜오뚜기의 YELLOW KITCHEN에서는 피자 무료 시식 이벤트도 진행된다.

 

전통문화한마당에서는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소속 장인들에게 직접 전통공예를 배울 수 있다. 별자리문양 장신구, 미니도자기 장구, 화살볼펜, 약소반 트레이, 복주머니, 매듭키링, 손수건·행주 자수, 화각 연필꽂이 등 8개의 공예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아울러, 전통 다과와 다도를 체험할 수 있다.

 

도서한마당에서는 코엑스 동측 광장이 책 500권을 비치한 야외 도서관으로 변신한다. 강남구립도서관 부스에서는 ‘강남구민이 사랑한 도서展’을 비롯해 맞춤형 AI 도서 체험, 책갈피 만들기, 독서대 만들기 등을 즐길 수 있다. 무선 헤드폰을 끼고 소음 없이 진행되는 작가와의 북사일런트 토크도 2차례 열린다. '슈퍼 스페이즈 실록'의 곽재식 작가는 13시부터 14시까지, '고개를 끄덕이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되니까'의 저자 문지애 아나운서가 18시부터 19시까지 강연을 진행한다.

 

문화예술한마당에서는 다양한 공연이 이어진다. 북청사자놀이(국가무형유산), 문재즈밴드의 재즈공연, 옥상달빛의 두루두루콘서트, 무소음 디제잉 공연이 이어진다. 이벤트한마당에서는 나만의 이니셜 키링 만들기와 활판인쇄로 엽서 제작, 보드게임 체험존, 푸드트럭을 운영한다.

 

상시 전시를 제외한 체험·강연 프로그램은 사전 접수가 필요하다. 구청 및 강남문화재단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사전 예약하면 된다.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올해로 2회째를 맞는 ‘강남 문화한마당’이 대표 관광특구인 코엑스에서 강남구의 풍부한 문화 콘텐츠를 한자리에서 체험할 수 있는 가을축제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며 “구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를 더 가깝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층 디지털 소외 심화, 사회적 연대 강화로 해결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현재, 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 비대면 문화가 일상화되고 키오스크, 모바일 앱을 통한 서비스 이용이 필수가 되면서, 디지털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권리마저 침해받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사회적 고립과 정보 접근성 불평등을 야기하며, 시급한 사회적 논의와 해결책 마련이 요구된다. 디지털 소외는 고령층의 건강, 금융, 복지 등 삶의 질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진료 예약, 모바일 뱅킹, 정부 지원금 신청 등 필수적인 서비스들이 디지털 환경으로 이동하면서,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노인들은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큰 장벽을 느낀다. 또한, 비대면 소통 방식의 확산은 가족 및 사회 구성원과의 단절을 심화시켜 심리적 외로움과 고독감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키오스크 체험존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대부분 일회성이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