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울산

울주군 온양 하서마을, ‘장수마을’ 화제

마을주민 175명 중 100세 이상 장수어르신 3명… 울주군 384개 마을 중 최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장우혁 기자 | 울산 울주군 온양읍의 한 마을에 100세 이상 장수어르신이 3명이나 살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20일 울주군에 따르면 지난 1일 온양읍 하서마을에서 열린 어버이날 행사에 100세가 넘는 어르신 3분이 참석해 백수 기념식을 가졌다.

 

하서마을 주민인 임금생(1923년생), 김두리(1926년생), 오무식(1926년생) 어르신은 10대 시절 결혼과 함께 이곳 마을에 터전을 잡아 80여년 한평생을 살아왔다.

 

이들 어르신이 거주하는 하서마을은 울주군 전체 마을 총 384곳 중에 100세 이상 장수어르신이 가장 많은 장수마을이다.

 

주민 수가 175명인 작은 마을에 장수어르신 3명이 살고 있다.

 

현재 100세가 넘는 울주군 장수어르신은 총 55명이지만 대부분이 거동이 불편하거나 건강이 좋지 않아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하서마을 장수어르신들은 식사도 잘하고 계단을 도움 없이 오르내릴 만큼 건강해 더욱 눈길을 끈다.

 

어르신들은 건강한 장수의 비법으로 스트레스 없는 편안한 마을 환경을 꼽았다.

 

김두리 어르신은 “평생을 살아왔지만 우리 마을처럼 좋은 곳이 없다. 실랑이나 해코지하는 사람도 없고, 주민 모두가 노인들을 잘 대우해줘서 스트레스 없이 편안하게 살고 있다”며 “요즘은 세월이 좋아져서 건강하게 더 오래 살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최근 문제가 되는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우려의 목소리를 전하기도 했다.

 

오무식 어르신은 “요즘 사람들은 결혼을 안 하고 아이를 낳지 않아 걱정”이라며 “젊은 사람들이 아이를 많이 낳아서 옛날만큼 아이들을 자주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한편 울주군은 장수어르신의 복지 향상에 이바지하고, 경로효친의 사회적 분위기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해에는 ‘울주군 장수축하물품 지급 조례’를 제정하고, 조례에 따라 올해부터 100세가 된 어르신에게 장수축하물품을 지급하고 있다.

 

이순걸 울주군수는 “울주의 발전을 이끌어주신 우리 어르신들의 오랜 노고와 귀중한 헌신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울주군 어르신 모두가 활기찬 노후생활과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아낌없는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낮에는 자원순환, 밤에는 조선체험으로 보낸 김제의 특별한 주말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9월의 첫 주말 김제시가 시민과 관광객으로 북적였다.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2일간 김제시민문화체육공원에서 ‘제3회 김제 자원순환 새로보미 축제’가 개최됐다. ‘새로보미 축제’는 5개 분야에 걸쳐 총 80개의 다채로운 자원순환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즐기고 참여할 수 있는 축제다. 특히, 고장 나거나 쓸모 없어진 물건들, 재활용품 등 폐자원을 활용해 만든 예술작품인 ‘정크아트’전시는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어른들에게 색다른 감동을 선사했다. 또, 단순히 자원순환을 주제로 한 콘텐츠를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행사 운영 전반에 친환경 원칙을 적극 반영해 자원순환의 가치를 직접 체험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진행돼 관람객들이 자연스럽게 자원순환을 실천하도록 유도했다. 더불어, 환경부 주최 정부 공식행사인 ‘제17회 자원순환의 날’ 기념식을 지난 5일 “탈플라스틱, 지구를 위한 약속”을 주제로 진행되며 그 의미를 더했다. 이번 ‘제17회 자원순환의 날’행사는 수도권 중심 방식에서 벗어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