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90분간 통화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문제를 논의했다. 그러나 당초 기대됐던 ‘30일 전면 휴전’ 대신 ‘에너지 인프라 공격 중단’에만 합의하면서 부분적 휴전으로 결론이 났다. 푸틴 대통령은 미국이 제안한 ‘30일 휴전안’은 우크라이나군 재정비 시간을 벌어줄 뿐이라며 거부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의 에너지 인프라 공격 중단을 제안했고, 푸틴 대통령은 즉각 러시아군에 해당 명령을 내렸다. 크렘린궁은 성명을 통해 “양국이 세계 안보를 위해 협력할 책임이 있다”며 “경제·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에너지·인프라 휴전이 시작되며, 향후 흑해 해상 휴전과 전면적인 종전 협상을 위한 논의가 중동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협상 참여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일단 이번 합의를 지지한다”면서도 “푸틴 대통령이 완전한 휴전 제안을 거부했다”며 러시아의 종전 의지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통화해 협상 내용을 자세히 듣겠다”고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원조를 전면 중단하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공중 및 해상에서의 즉각적인 휴전 가능성을 언급하며 미국과의 협력 강화를 모색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는 이에 대한 반발과 배신감이 커지고 있다. 젤렌스키 "미국 지원 중단 유감…공중·해상 휴전 가능" 젤렌스키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엑스(X·구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우리 가운데 누구도 끝없는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 지속적인 평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전쟁을 끝내기 위해 신속히 일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1단계로 포로 석방과 공중에서의 휴전, 즉 미사일·장거리 드론·에너지 및 민간 인프라에 대한 공격 금지, 해상에서의 즉각적인 휴전을 시행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다만 "러시아도 이에 동의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제안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언급한 영국·프랑스의 ‘1개월 공중·해상 휴전’ 계획과도 연결된다. 백악관 설전 후 수습…미국과 협력 강조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의 군사 원조에 대한 감사를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집권 2기 첫 각료회의에서 유럽연합(EU)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결정을 내렸으며, 이를 매우 조기에 발표할 것"이라며, 관세 대상에는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품목이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의 핵심 요소인 우크라이나 안전보장에 대해 미국은 참여하지 않을 것이며, 유럽이 그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안전보장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유럽에게 그것을 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것은 잊어버리면 된다"며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시도가 러시아의 침공을 유도했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유예 상태인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를 4월 2일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이달 4일부터 부과하기로 했던 이 관세는 두 나라가 불법 이민과 마약 단속 등을 위한 국경 안보 강화에 협력하기로 함에 따라 1개월 유예됐으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24일(현지 시간) 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을 맞아 신속한 종전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하지만 결의안에서 러시아의 침공 책임이 명시되지 않아 유럽 국가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미국이 주도한 이번 결의안은 찬성 10표, 반대 0표, 기권 5표로 가결됐다. 프랑스와 영국 등 주요 유럽 국가들은 결의안이 러시아의 책임을 묻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권했다. 앞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평화로 가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며 유엔 회원국들의 지지를 요청했다. 하지만 미국이 우크라이나와 유럽을 배제한 채 지난 1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러시아와 종전 협상을 진행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졌다. 미국과 러시아는 다음 주 추가 회담을 열어 관계 개선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반발이 거센 만큼 향후 협상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 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 ▷ 전화 : 1661-8995 ▷ 이메일 : god8889@itimesm.com ▷ 고발닷컴 제보하기 ▷ 유튜브, 인스타 뉴스 구독해주세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미국과 러시아가 1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위한 첫 장관급 회담을 개최한다. 이번 회담에는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참석하며, 양국 정상회담 일정 조율과 양자 관계 회복,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번 회의가 러시아와 미국 관계의 전반적인 회복과 우크라이나 관련 협상 준비를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 추진도 논의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번 협상에 우크라이나가 배제되면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관리가 한 명도 없는 회담은 결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며 불만을 표명했다. 미국 측은 우크라이나를 협상에 포함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구체적인 참여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유럽 각국은 이번 협상에서 배제된 것에 대한 우려로 프랑스 파리에서 긴급 회동을 열어 대책을 논의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 등도 참석한 이번 회의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중재하고 나섰지만,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입장이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즉각적인 종전 협상 개시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후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러시아 측과 고위급 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미·러 주도의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와 유럽이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17일 파리에서 영국, 독일 등 유럽 주요국 정상들을 초청해 비공식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종전 협상에서 유럽의 역할과 우크라이나의 안보 보장 방안 등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평화 달성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제 이 어리석은 전쟁을 멈출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번 종전 협상은 미국과 러시아의 주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참여 여부가 불투명해 국제 사회의 이목이 집중되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윤유경 에디터(영상뉴스 편집) | 삼성전자(코스피 005930, 대표이사 한종희)의 러시아 칼루가 공장이 다시금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삼성전자는 2008년 준공한 이 공장을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가동 중단했으나, 2024년 현지 기업인 VVP 그룹에 임대해 새로운 논란의 씨앗을 뿌렸다. 러시아의 VVP그룹이 그래비톤이라는 기업에 재임대를 해주었는데, 이 공장이 현재 러시아의 최첨단 산업에 쓰이는 고성능 컴퓨팅 서버(HPC 서버)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 문제의 핵심이다. 삼성전자는 왜 칼루가 공장을 임대했나? 삼성전자의 러시아 칼루가 공장은 2008년 준공 이후 2022년 3월 러-우 전쟁 때문에 가동을 멈췄었다. 칼루가 공장에서 삼성전자는 가전제품(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생산하고 있었고 이를 러시아와 CIS(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독립국가연합) 등에 팔고 있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기업들과 유사한 고민에 빠졌다. 폭스바겐, 포드, 맥도날드, 현대차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러시아를 떠난 반면, 삼성전자는 공장을 매각하지 않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 최다인 기자 | 20일 미국의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새로운 핵 운용 지침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올해 미국 정부의 두 고위 관료는 급변하는 글로벌 안보 환경으로 인해 미국의 핵 전략이 변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정부, 중-러 견제해 핵 운용 지침 개정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미 국방부 우주정책차관보 대행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는 비핀 나랑은 워싱턴 D.C.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주최 대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최근 여러 핵무장을 한 적대국들, 특히 중국의 핵무기 보유량이 크게 증가한 것을 고려해 핵무기 운용 지침을 새롭게 개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프라나이 바디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군축·비확산 선임 보좌관은 지난 6월 군비통제협회(Arms Control Association) 연례 회의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핵 전략을 바꾸지 않는 한 미국이 핵무기 보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욕타임스는 미국 정부가 이러한 결정을 내린 이유로 두 가지를 꼽았다. ▲첫 번째는 최근 러시아, 중국, 북한 등 미국의 적대국들 간의 관계 변화 때문이다. 실제로 러시아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