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언어모델 구축을 목표로 한 ‘대한민국 국가대표 언어모델’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오는 2월 26일(수) 오후 7시 서울에서 오프라인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강북 또는 강남에서 진행되며, 신청 인원에 따라 최종 장소가 결정된다. 추진위는 정부, 민간, 학계, 연구소 등 다양한 주체가 협력하는 공식 기구로, 국가 차원의 AI 언어모델 개발 및 연구를 촉진하고, 공공성과 혁신성을 동시에 갖춘 AI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또한, AI 기반 한국어 자연어처리(NLP)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설명회에서는 추진위의 설립 배경과 운영 방향이 소개되며, AI 연구 및 개발을 위한 협력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추진위는 공공·민간·연구소가 공동 운영하는 협력 거버넌스 모델을 도입해,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연구기관과 기업 간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추진위 출범과 관련해 사단법인 한국인공지능연구소의 이강훈 소장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언어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야 한다”며, “이번 설명회는 추진위의 목표와 비전
● 챗GPT와 딥시크 - AI 관련 시리즈 [이슈분석] 딥시크가 이끈 LLM 대격변.. “논문 봤더니?!” [이슈] 정부-기업, '딥시크 사용 금지령'... 정보 유출 우려 [이슈] 딥시크, 위조 계정·허위 정보 주의 당부…각국 차단 조치 속 첫 공식 입장 [이강훈 칼럼] '딥시크와 챗GPT' 열풍... 생성 AI, 미래의 핵심 경쟁력은? [이강훈 칼럼] 딥시크 충격, 소형 범용 모델이 AI 산업 이끈다 [이슈분석] 한국은 왜 ‘딥시크’ 못 만드나? [이강훈 칼럼] 한국형 AI 인력 10만 양성, 가능할까? 이강훈(사단법인 한국인공지능연구소 소장 및 (주)퀀텀아이 대표) 기고,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편집 | 최근 인공지능(AI) 인력 10만 명 양성 계획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AI 산업이 단순한 인력 숫자가 아니라 질적 수준이 중요하다는 점은 맞다. 하지만 국가 차원에서 목표 설정 없이 AI 인력 양성이 가능할까? AI는 단순히 연구자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AI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인공지능 응용 개발자, 기업 내 AI 활용 인력까지 폭넓게 필요한 시대다. 따라서 단순한 ‘숫자 목표’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인재
● 챗GPT와 딥시크 - AI 관련 시리즈 [이슈분석] 딥시크가 이끈 LLM 대격변.. “논문 봤더니?!” [이슈] 정부-기업, '딥시크 사용 금지령'... 정보 유출 우려 [이슈] 딥시크, 위조 계정·허위 정보 주의 당부…각국 차단 조치 속 첫 공식 입장 [이강훈 칼럼] '딥시크와 챗GPT' 열풍... 생성 AI, 미래의 핵심 경쟁력은? [이강훈 칼럼] 딥시크 충격, 소형 범용 모델이 AI 산업 이끈다 [이슈분석] 한국은 왜 ‘딥시크’ 못 만드나? 이강훈(사단법인 한국인공지능연구소 소장 및 (주)퀀텀아이 대표) 기고,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편집 | 최근 AI 산업 전반에 걸쳐 언어 모델의 크기와 성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24B 정도의 모델만으로도 GPT-4o-mini나 Deepseek R1 수준에 근접하는 성능과 빠른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면, 산업계에서는 이러한 방향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24B에서 B는 billion(10억)을 의미한다. 즉, 24B는 240억 개의 매개변수(파라미터, parameters)를 가진 모델을 뜻한다. 딥러닝 기반의 대규모 언어 모델에서는 일반적으로 모델 크기를 파라미터 개수로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