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DGIS 에너지공학과 양지웅 교수팀이 순적색 고성능 피부부착형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를 제작하여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UNIST 신소재공학과 최문기 교수팀과 공동으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선택적 표면개질을 통한 순적색 초고효율 발광소자'를 개발한 연구팀은, 해당 기술이 향후 다양한 웨어러블 제품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웨어러블,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성장하면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주로 태양전지나 발광소자 등에 사용되는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가 차세대 광전자 재료로 주목받고 있는데, 저렴한 가격과 효율적인 태양광 변환 및 발광 효과로 이를 활용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적색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는 안정성과 전기적 특성이 낮아 고성능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이에 DGIST-UN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층의 간단한 표면개질로 안전성과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순적색 발광소자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기존의 경우 페로브스카이트 제작 시 할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DGIS 에너지공학과 양지웅 교수팀이 '세계 최고 성능의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친환경 양자점 광센서'를 개발했다. UNIST 신소재공학과 최문기 교수팀,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김대형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기술로 만든 친환경 양자점 광센서는 광전압 효과에 의해 외부 전원 없이도 안정적으로 광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공동연구팀은 해당 광센서를 사용하여 매우 얇은 '피부 부착형 초박막 맥박 센서'도 제작해 다양한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맥박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맥박 센서를 선보였다. 최근 인구 고령화, 코로나19와 같은 유행성 질환의 대유행으로 인해, 장기간 몸에 부착하여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실리콘 기반 광센서는 무겁고 딱딱해 장시간 착용이 불편하다는 단점과 함께, 피부와 밀접하게 접촉하지 못해 생체 신호를 정확하게 획득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어 실생활에서 흔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올해 '나노기술의 씨앗'이라고 불리는 양자점을 발견하고 발전시킨 과학자 3인이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양자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