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예술통신

바이올리니스트 정상희, 베토벤 페스티벌에서 듀오 공연

바이올리니스트 정상희, 베토벤 페스티벌에서 듀오 공연

 지난 5월부터 약 1달간 진행되는 베토벤 페스티벌은 체코의 테플리체로 전 유럽인들의 발걸음을 이끌었다. 음악소리와 축제의 분위기로 가득한 이 곳에 유럽 전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바이올리니스트 정상희와 피아니스트 Natalia Rehling의 듀오 연주가 열렸다.

 듀오 콘서트의 막을 여는 R. SchumannSonata for Violin and Piano No. 1 in a minor. Op. 105은차분히 시작되었지만, 곧 이어 바이올린의 특유의 화려함과 적절한 무게감으로 연주장 안을 가득 메웠다. 그리고 피아노와 함께 서로 발맞추다가도, 서로의 색채를 잘 살려내는 음색으로, 짧은 곡이었으나 풍성한 느낌을 선사했다. 이어진 C. DebussyViolin Sonata in g minor, L. 140는 들으면서 긴장감을 놓을 수 없었다. 그것이 연주자의 연주력 뿐 만 아니라, 한 음 한 음 집중하면서 들을 수 밖에 없는 곡의 흐름과 바이올린의 4개 현을 뛰노는 그녀의 손가락과 표정은 다른 어느 것에도 눈을 돌릴 수 없게 만들었다. I. J. Paderewski Sonata in a minor, Op. 13 은 화려하게 시작되는 피아노 반주와 함께 무게감 있게 실리는 바이올린 현 소리로 압도했다. 마치 신비로운 세계로의 초대와도 같은 듀오 연주 속에 바이올리니스트 정상희의 연주는 성숙한 현의 떨림과 음을 표현해내며, 나이보다 더 깊은 듯한 연주자로서의 연륜을 느끼게 만들었다. 이날 듀오 연주의 마지막을 장식한 H. WieniawskiFaust Fantasy, Op. 20는 어두운 분위기로 시작되지만, 이따금 곡의 분위기가 바뀌면서도 듣는 이로 하여금 침착케 만드는 놀라운 힘이 있는 곡이었다. 굉장히 바이올린의 매력을 잘 드러내면서도 특히 마지막을 향해가면서 쉽지 않은 테크닉까지 완벽하게 소화하며 곡을 펼쳐 나가는 바이올리니스트 정상희의 밀도있는 집중력과 연주력에 감탄했다.

오늘의 연주는 바이올리니스트 정상희의 바이올린 연주는 매번 들을 때 마다, 새로운 바이올린의 맛을 느끼게 해주는 것을 다시금 입증했다. 듀오 연주 전체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맞춘 곡의 선별도 좋았지만, 바이올린의 매력을 물씬 느낄 수 있었던 오늘의 연주를 통해 왜 아직까지 클래식이라는 장르가 끊임없이 새로 나오고 사라지는 세상 속에서도 그 뿌리와 명맥을 이어나갈 수 있는지를 깨닫게 만들었다. 다시금 근본과 기본의 필요성이 느껴질 때마다, 그녀의 연주는 기본과 함께 다양한 얼굴을 가진 클래식의 맛을 느끼게 해줄 것 같다.

SMCM예술통신_비엔나에서 이한나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안산시, 창의융합 교육 확대·학교 환경 개선 위한 교육경비 지원

데일리연합 (SNSJTV) 송은하 기자 | 안산시가 교육경비 보조사업을 추가로 선정해 학생 맞춤형 학습 환경 조성과 학교 시설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 안산시는 ‘2025년 제3회 안산시교육발전위원회’에서 총 133개 사업, 32억 원 규모의 교육경비 보조사업을 추가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15일 열린 심의는 교육지원청 제안과 학교 현장의 요청을 반영해 시급성과 필요성이 높은 사업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특히, 다문화 밀집학교 학생들의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다문화 밀집학교 디지털 수업도구 지원 사업’이 포함됐다. 해당 사업은 초·중·고 다문화 특별학급과 다문화 밀집학교 16개교를 대상으로 총 4억 8천만 원을 투입해 에듀테크 기반 학습 환경을 구축하는 내용이다. 디지털 교구와 학습 기자재를 지원해 다문화 학생의 학습 참여도를 높이고 원활한 학교 적응을 돕게 된다. 이 외에도 ▲강남인강 온라인 교육지원 시범 운영 ▲교육용 로봇 구입비 지원 ▲학교개방 협약학교 인센티브 지급 ▲교육청-지자체 협력(시설) 사업 ▲학교 환경시설 개선 사업 등이 함께 선정됐다. 시는 이번 교육경비 보조사업으로 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