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우리나라 출산율 '1명 아래'로 떨어져

 
 
[데일리연합 전호성기자]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결국 1명 아래로 내려앉았다.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출생아를 의미하는 '합계 출산율'이 지난해 처음 0.98명을 기록하며 1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1971년 4.54명 정점을 찍은 뒤 80년대 1명대로 떨어졌고 2017년 1.05명에 이어 마침내 1명도 채 낳지 않는 상황이 됐다. 
 
 
아기를 낳는 나이도 더 늦어졌다. 
 
 
평균 32.8세로 1년만에 또 0.2세 늘었다. 
 
 
10년전만해도 20대 후반 출산율은 30대 후반의 4배였지만, 올해 처음으로 역전됐다. 
 
 
40대의 출산율만 유일하게 늘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32만 6천9백 명, 인구학자들이 마지노선으로 보는 30만 명에 바짝 다가섰고, 사망자수와의 격차는 더 줄었다. 
 
 
지구상 첫번째 '인구 소멸 국가'가 될 거라는 경고가 현실화되는 상황이다. 
 
 
10여 년간 130조 원을 저출산 대책에 쏟아부었지만, 취업, 집값, 육아, 교육, 경력단절 등 지목돼온 문제점은 여전히 출산을 꺼리게 만들고 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