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환경감시국민운동본부, 에코인서클 탄소포집탱크가 지구를 살린다

전세계 100억그루 나무심기 ECT100 비젼 실천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조성윤 기자 | 지구촌 기후위기에 대응하기위한 탄소중립 전략 프로젝트 핵심적인 키워드는 이산화탄소(CO2)를 포집(Capture)하여 활용(Utilization) 또는 저장(Storage)하는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기술이다. 이 CCUS에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있지만 대한민국 환경감시운동본부가 20여년간 준비와 실천을 하며 야심차게 추진하는 에코 인 포레스트(ECO-IN FOREST) 프로젝트 즉 에코인서클 탄소 포집 탱크사업이 있다.

 

 

에코 인 포레스트 프로젝트 관계자는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가장 쉽고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CCS 전략기술이 나무를 심는 것이라며, 전세계를 향하여 100억그루 나무심기 ECT.100의 비젼을 실천하고있는 '글로벌나무심기 릴레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전했다.

 

 

글로벌나무심기 릴레이 캠페인 프로젝트는 '에코인 포레스트로 지정된 사업부지'에 나무 심기를 통해 지구를 살리자는 메시지를 전파하는 '에코 인 서클'이 시각적 형상화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항공 뷰어를 통해 대지위에 '에코 인 써클'이 찍혀있으면 글로벌나무심기 릴레이 캠페인 ECT100 프로젝트가 실천되었다는 메시지의 시각적 상징이 될 것이라고 관계자는 말했다.

 

”에코 인 서클“은 직경3M(반경1.5M)의 원형 유니트(UNIT)를 가장 기본적인 쎌(CELL)DL 되는 ”써클“로 단위를 규정하고, 1개의 써클은 나무를 통해 탄소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가장적은 CCS단위로써,년간 약 10Kg의 탄소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최소단위의 탄소포집탱크(CCS)의 크기라고 할수 있으며 탄소포집탱크는 개인이나 기업등이 소유할수 있으며 사업추진시 탄소권에 부여되는 가장안전하고 최대의 수익률을 보장될 것이다.

이상권 환경감시국민운동본부 총재는 ”현재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고있는 양평 에코인 포레스트 조성사업은 사업부지의 입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포레스트 테마는 에코어드벤쳐 파크로 마스터플렌이 되었으며,CCS규모는 1만5천개의 에코인 써클 탑재되도록 설계되어 15,000개의NFT포레스트회원을 참가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효과와 한계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전국을 덮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하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냉방시설 확대, 무더위쉼터 운영 등의 지원책을 마련했지만, 실제 효과와 한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정부의 폭염 대책은 주로 무더위쉼터 확대 운영과 취약계층에 대한 냉방비 지원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무더위쉼터 접근성이 낮은 지역이나,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으로 쉼터 이용이 어려운 취약계층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냉방비 지원의 경우 지원 대상 및 규모가 제한적이며, 실제 지원금이 생활고에 처한 취약계층에게 충분한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고령층이나 장애인 등 특정 취약계층의 경우, 단순한 냉방비 지원 외에 더욱 적극적인 돌봄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정책 외에도 지역사회 차원의 노력이 중요하다. 주민센터, 종교시설, 복지관 등 지역 내 유관기관들이 취약계층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돕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폭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