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1.8℃
  • 맑음강릉 4.7℃
  • 구름많음서울 5.3℃
  • 구름조금인천 5.6℃
  • 박무수원 3.0℃
  • 맑음청주 5.0℃
  • 맑음대전 3.3℃
  • 맑음대구 2.7℃
  • 맑음전주 3.9℃
  • 맑음울산 5.6℃
  • 맑음광주 4.2℃
  • 맑음부산 7.8℃
  • 맑음여수 6.5℃
  • 맑음제주 7.2℃
  • 맑음천안 -0.1℃
  • 맑음경주시 1.1℃
  • 맑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국제

외교부 조태열 장관, 북한내 억류자, 국군포로 및 강제송환 탈북민 가족 면담

제79차 유엔총회 고위급회기 계기 뉴욕에서 개최된 북한인권 부대행사(9.25)에 참석했던 억류자, 국군포로 및 강제송환 탈북민의 가족과 재회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최형석 기자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0월 21일 지난 9월 제79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기간 중 개최된 북한인권 부대행사*에 참석했던 억류자, 국군포로 및 강제송환 탈북민의 가족 3인을 접견하고, 북한의 인권 침해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는 북한 주민들과 이산가족들의 아픔을 함께 나누었다.

 

조 장관은 지난 9월 개최된 북한인권 부대행사가 북한의 열악한 인권상황과 전세계에 있는 북한 인권 침해 피해자들의 가족들이 겪고 있는 고통과 슬픔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하고, 동 행사에 참석해 공개 증언을 해준 가족들에게 사의를 표했다. 조 장관은 본인도 이산가족의 한 사람으로서 가까운 가족과 헤어진 채 생사를 모르고 지내는 억류자, 국군포로, 강제송환 탈북민 가족들의 아픔에 깊이 공감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우리 정부는 북한인권 문제 해결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중요한 토대라는 인식하에 북한인권 증진을 우리 대북 정책의 중심에 두고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조 장관은 우리 정부가 유엔 인권기구 및 관련국과의 협의 등 기회가 될 때마다 탈북민 문제를 포함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하고, 오는 11.7(목) 북한 제4주기 보편적 정례인권검토(UPR: Universal Periodic Review)에도 참여하여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이산가족 문제 등을 비롯한 북한의 인권 침해 상황에 대해 국제사회의 관심을 적극 촉구할 것이라고 했다.

 

참석한 가족들은 각자의 고통스런 가족사를 얘기하며 정부가 지난 유엔총회 계기에 북한인권 부대행사를 주최하여 가족들이 공개적으로 증언할 기회를 제공하고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던 국군포로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여주고 있는데 대해 사의를 표하고, 이러한 문제들이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요청했다.

 

조 장관은 유엔총회 제3위원회, 인권이사회 등 다양한 계기에 북한인권 문제와 그로 인한 가족들의 고통에 대한 관심을 제고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기획]"버스 안 미술관ㆍ교실 안 음악회" 학교로 들어간 시흥의 문화예술 교육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3월 18일, 신학기를 맞은 시흥시 월곶초등학교 아이들이 교실을 박차고 나섰다. 알록달록 그림들이 가득한 버스 안으로 오르는 아이들의 발걸음이 신나있다. 어딘가로 떠나기 위해서가 아니다. 버스 안에 가득한 문화예술을 마음껏 보고, 느끼고, 체험하기 위해서다. 이곳은 시흥시가 시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만든 아트캔버스(ART-CAN-BUS)다. 지난해 2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제3차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 교육대회에서 사무총장 오드리 아줄레는 폐회사를 통해 “예술교육은 감정지능, 창의성, 비판적 사고를 발전시키며 타인에 대한 개방성과 다양성의 존중을 증진시킨다”고 말했다. 이 대회에서는 모든 국가의 만장일치로 ‘문화예술교육 프레임워크’가 채택되기도 했다. 시흥시는 문화예술교육과 체험을 통해 아동의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더욱이 시흥 문화예술 교육의 특별함은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서 한 단계 더 들어가 아이들이 매일 일상을 보내는 학교 안으로 들어가 보다 적극적인 문화예술 교육을 실천한다는 점에 있다. 위에 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