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예스24 12월 3주 영화 예매순위, ‘국제시장’ 개봉 첫 주 1위


 지난 주말 다큐멘터리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가 100만 관객을 돌파하며, 개봉 3주만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금주 평일에는 더 상승세를 타면서, 빠른 속도로 135만 관객까지 동원했다. 저예산 다큐멘터리 영화의 깜짝 흥행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주는 <국제시장>과 <호빗: 다섯 군대 전투>이 개봉하면서, 본격적인 연말 흥행레이스가 펼쳐졌다.

국내 최대 영화 예매사이트 예스24의 영화 예매순위에서는 황정민, 김윤진 주연의 <국제시장>이 예매율 26.4%로 개봉 첫 주 예매순위 1위에 올랐다. <국제시장>은 한국전쟁을 비롯해 현재에 이르기까지 격변의 시대를 관통한 이 시대 평범한 아버지의 삶을 감동적으로 그려낸 영화다. 피터 잭슨 감독의 판타지 블록버스터 3부작의 마지막 편인 <호빗: 다섯 군대 전투>는 예매율 25.8%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다큐멘터리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는 예매율 22.7%로 3위에 올랐다.

차주 개봉예정인 김우빈 주연의 <기술자들>은 12월 24일 개봉일 집계량만으로 예매율 4.8%를 기록하며 4위를 차지했고, 980만 관객을 돌파한 <인터스텔라>는 예매율 4%로 5위에 자리했다. 리들리 스콧 감독의 대서사 블록버스터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은 예매율 1.5%로 6위를 기록했다.

YES24에서 조사한 영화예매순위는 다음과 같다.
1. 국제시장
2. 호빗: 다섯 군대 전투
3.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4. 기술자들
5. 인터스텔라
6.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
7. 마미
8. 상의원
9. 사랑에 대한 모든 것
10.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

다음 주는 김우빈, 김영철, 고창석 주연의 <기술자들>이 개봉한다. <기술자들>은 인천세관에 숨겨진 1,500억을 40분 안에 털려는 기술자들의 치밀한 작전을 그린 범죄 액션영화다. 이 밖에 조선시대 왕실의 의복을 만들던 ‘상의원’들의 이야기를 그린 한석규, 고수 주연의 <상의원>과 애니메이션 <눈의 여왕2>와 <일곱난쟁이>가 개봉하여 연말을 더욱 풍성하게 해 줄 예정이다.

이수연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기업, 공급망 ESG 평가 의무화 및 녹색 전환 파이낸싱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기업 '테크노비전(TechnoVision)'이 오는 2026년부터 모든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를 의무화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녹색 전환을 위한 파이낸싱 지원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강화되는 전 세계적인 ESG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분석된다. 테크노비전은 이번 발표에서 협력사들이 탄소 배출량 감축, 노동 인권 보호, 윤리 경영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인 ESG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 협력사들이 ESG 전환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ESG 성과 연계형 대출 금리 우대, 녹색 기술 도입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실제적인 변화를 유도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최근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의무가 강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