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2014 SBS 연예대상, 이경규


방송인 이경규가 SBS 연예대상의 8번째 대상을 품에 안았다. 


30일 오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2014 SBS 연예대상 시상식 대상의 주인공은 데뷔 34년차 이경규였다.


시상식 내내 "대상이 욕심난다"는 말로 대상에 기대감을 높였던 이경규였지만, 막상 대상으로 호명되자 놀라운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이경규의 대상에 모든 시상식 참가자들은 기립하여 박수를 치며 그의 수상을 축하했다.


이날 대상 수상은 마지막까지 예측할 수 없는 박빙이었다. KBS와 MBC에서 이미 연예대상을 수상한 유재석은 '일요일이 좋다-런닝맨'으로 여전한 인기를 과시했다. 또 다른 대상후보인 김병만과 강호동도 '정글의 법칙'과 '놀라운 대회 스타킹'으로 무시할 수 없는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날 진행을 맡았던 이경규가 "대상을 받고 싶다", "대상 수상자와 함께 시상식을 마무리한다는 클로징 멘트가 제 대사다. 정말 하기 싫다"고 말하면서 분위기를 돋을 수 있었던 것도 대상 수상자가 누구인지 한치 앞도 예상할 수 없던 상황이기에 가능했다.


시상자로 무대에 오른 이경규는 "후배들의 발목을 잡아서 미안하다"고 했다. 하지만 유재석, 강호동, 김병만은 그에게 박수를 보냈다.


이경규는 이날 시상식에서도 "녹화 시간이 길어지면 내가 다 자를 거다", "지붕 있는 곳에서만 방송을 한다" 등의 멘트를 하며 특유의 '버럭' 캐릭터를 드러냈다. 그렇지만 방송 관계자들은 이경규가 방송에서 "버럭"하긴 하지만, 녹화가 진행될 때만큼은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임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이경규는 SBS에서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를 3년간, '글로벌 붕어빵'은 5년간 이끌어왔다. 앞서 SBS에서 2년 연속 최우수상을 받았을 만큼 묵묵하게 자신의 영역에서 활약해왔다. 

더욱이 이경규가 올해 54세라는 것을 고려하면 그의 활약은 더욱 도드라진다. 현재 50대 예능인 중 이경규처럼 활발하게 활동하는 이는 찾아보기 힘들다. 강호동과 유재석은 "이경규를 보면서 꿈을 키웠다"고 했다. 지난 2010년 KBS 연예대상 시상식에서 7번째 대상을 수상한데 이어 올해 또 다시 대상 트로피를 거머쥔 이경규를 보며 이들은 또 다른 꿈을 꿨을 것이다.

오는 2월 이경규는 새로운 도전을 펼친다. 딸 예림 양과 함께 리얼 버라이어티 예능 프로그램 출연을 앞두고 있는 것이다. 이경규는 이날 수상소감으로 "내년엔 딸 예림이와 함께 대상을 받고 싶다"고 했다. 이경규가 2년 연속 대상의 영예를 안을 수 있을지, 멈추지 않는 그의 행보에 이목이 쏠린다.
 

이수연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