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광대역 LTE-A나 광대역 LTE, 인터넷 속도 거의 같아


이동통신업체들이 광대역 LTE보다 1.5배 가량 빠르다고 광고했던 광대역 LTE-A 서비스의 인터넷 이용(웹 서핑) 속도가 광대역 LTE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빠른 이동통신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통신비와 휴대폰 가격은 올랐지만 사실상 서비스의 질은 그대로였던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30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CJ헬로비전 티브로드 씨앤엠 등 통신업체들을 대상으로 한 ‘통신서비스 품질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LTE 가입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 검색, 뉴스보기 등의 인터넷 이용 속도 측정 결과 광대역 LTE-A는 평균 1.3초로, 광대역 LTE와 똑같았다.

인터넷 이용 속도는 각종 사이트가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히 보이는 시간을 측정했는데, 광대역 LTE-A와 광대역 LTE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이론상 데이터 전송속도는 기존 LTE에서 바뀐 광대역 LTE가 150Mbps, 광대역 LTE-A가 225Mbps다.

네이버는 인터넷 검색 속도가 광대역 LTE-A나 광대역 LTE 모두 1.2초로 동일했고, 유튜브나 티스토리 등 일부 사이트는 오히려 광대역 LTE가 광대역 LTE-A 보다 0.1~0.2초 더 빨랐다.

스마트폰 이용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의 인터넷 검색 속도도 평균 1.7초로 LTE보다 단 0.4초 뒤질 뿐이다. 1초 미만이면 이용자들이 거의 체감하기 힘든 수준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LTE 등장으로 무선 인터넷 속도가 대폭 빨라져 이후 신기술은 이용자들이 체감할 만큼 서비스별로 속도 차이가 크지 않다”며 “앞으로 나올 3밴드 LTE-A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3밴드 LTE-A는 이통사들이 내년부터 상용화 예정인 서비스다.

하지만 내려받기 속도에서는 차이가 났다. 광대역 LTE-A의 경우 평균 114.4Mbps로, 광대역 LTE의 77.8Mbps보다 빨랐다. 광대역 LTE-A는 이통사 간에도 속도 차이가 있었다. SK텔레콤이 116.9Mbps로, KT와 LG유플러스의 113.2Mbps보다 빨랐다.

파일을 보내는 업로드 속도는 광대역 LTE-A나 광대역 LTE 모두 LG유플러스가 가장 빨랐다. LG유플러스의 파일 업로드 속도는 광대역 LTE-A에서 37.7Mbps, 광대역 LTE에서 37.9Mbps로 측정됐다. 반면 SK텔레콤과 KT의 업로드 속도는 광대역 LTE-A에서 21.4Mbps, 광대역 LTE에서 21.6Mbps로 조사됐다.

황서영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탄소 감축 노력 강화, 기업의 ESG 경영 평가 기준 변화 주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기업들의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탄소 감축 노력이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넷제로(Net-Zero) 목표 달성을 위한 기업들의 전략과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ESG 평가 기준 또한 더욱 엄격해지고 있는 추세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탄소 배출 감축 목표 달성 여부가 기업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기업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으며, 반대로 탄소 배출량이 높은 기업은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들의 경영 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탄소 감축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에너지 효율 개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탄소 감축 노력은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영향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다. 기업들은 탄소 감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