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바나나, 숙취·스트레스 해소와 피부미용에 특효약



저렴한 가격과 포만감 덕분에 많은 이들이 찾는 과일 중 하나가 '바나나'다.
 
바나나는 연초까지 이어지는 술자리 탓에 괴로운 아침을 ‘구제’해 줄 특효약이 될 수 있다.

 
■ 바나나가 숙취해소에 특효
괴로운 아침을 맞이했을 때, 가까운 편의점이나 까페 등에서 바나나를 구해 먹으면 숙취의 무게를 덜 수 있다.

숙취의 주요원인은 탈수현상과 칼륨 결핍이다. 이 두 증상 모두 알콜 섭취의 직접적인 결과다.

바나나는 여기서 ‘칼륨 결핍’ 부분을 맡는다. 바나나는 칼륨의 아주좋은 공급원이다. 보통의 바나나 하나를 먹으면 약 450mg 정도의 칼륨을 섭취하게 된다.

마그네슘 함량도 높은데, 음주 이후 혈관이 과하게 뛰어 생기는 지끈거리는 두통을 완화시켜준다. 바나나는 숙취 증상을 완화지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비타민B6와 비타민C의 함량도 높다.


 
■ 바나나를 먹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바나나는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좋은 공급원이다. 이 트립토판은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을 증진시킨다.

적정한 세로토닌 수치는 기분을 좋게 하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전체적인 행복감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숙면이 힘든 사람들이 편안히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트립토판은 신체가 스스로 만들지 못해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하는 필수아미노산이다.

즉 여러 식품 중에서도 트립토판을 섭취하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바나나를 섭취하는 것이다.

 
■ 피부 혹한기 겨울, 바나나로 극복
피부에 좋다는 수 많은 성분들이 나오고 이들을 넣은 화장품들이 출시되는 가운데 ‘피부 미용에 좋은 과일’의 대열에 빠질 수 없는 것 또한 바나나다.

특히 바나나는 건선피부나 여드름 피부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바나나 껍질의 안쪽면을 문제가 있는 피부에 문지르고 잔여물은 남겨 둔다.

물론 당장에 피부의 문제를 눈에 띄게 개선해주지 않지만, 꾸준히 활용할 경우 그 효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나나는 무사마귀를 치료하는데도 쓰인다. 바나나 껍질을 적당히 잘라 무사마귀에 문지르거나 밤동안 해당 부위에 고정시키면 매일밤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수연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