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박하선·안영미 ‘진짜 사나이’ 여군 특집 합류



배우 박하선과 개그우먼 안영미가 MBC 예능프로그램 ‘일밤-진짜 사나이’의 혹한기 여군 특집에 합류한다.

두 사람은 최근 제작진으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출연할 뜻을 밝혔다.

박하선은 2011년 MBC 시트콤 ‘하이킥-짧은 다리의 역습’에 출연해 능청스러운 연기를 소화하며 시청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안영미는 스탠딩 개그 프로그램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섭렵하며 주목받고 있는 인기 개그우먼으로 제작진이 우선순위에 두고 섭외를 시도했다. MBC 예능국 관계자는 “6, 7명 정도가 출연할 예정이다. 이 중 박하선과 안영미가 합류하기로 결정됐다”고 전했다.

박하선과 안영미는 나머지 출연진이 섭외되면 이달 12일 입소할 예정이다. 이번 여군 특집은 계절적 특징을 살려 혹한기 훈련 등을 다루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8월 방송됐던 여군 특집이 큰 화제를 모았던 만큼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고심 중이다”고 덧붙였다.

혹한기 여군 특집에는 두 사람 외에도 걸그룹 멤버를 비롯해 예능 출연 경험이 거의 없는 여배우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지난 여군 특집에 출연했던 걸그룹 걸스데이의 멤버 혜리와 배우 라미란, 김소연 등이 스타덤에 올랐던 터라 혹한기 여군 특집에 참여하기 위해 숱한 연예기획사들이 제작진을 찾아오는 등 물밑 경쟁이 치열했다.

배우 라미란, 홍은희, 김소연, 가수 지나, 걸스데이의 멤버 혜리, 개그우먼 맹승지, 쇼트트랙 금메달리스트 박승희 선수 등이 출연했던 여군 특집은 전국 시청률 19.8%(닐슨 코리아 기준)를 기록하며 ‘진짜 사나이’ 역대 최고 시청률을 경신했다.

당초 4부작으로 기획됐던 여군 특집은 시청자들의 높은 지지 속에 1회 연장 방송됐고 시즌2 제작 요청이 쇄도했다. ‘진짜 사나이’ 제작 관계자는 “최근 동시간대 방송되는 KBS 2TV ‘해피 선데이’의 코너인 ‘1박2일’과 ‘슈퍼맨이 돌아왔다’가 인기를 끌면서 ‘진짜 사나이’의 시청률이 주춤했다”며 “혹한기 여군 특집은 ‘진짜 사나이’ 인기 반등의 기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수연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