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KBS 아나운서 퇴사 바람



KBS 간판급 아나운서들의 퇴사가 잦아지고 있다. 이제는 아나운서들의 프리랜서 선언이 자연스러운 수순으로 여겨지고 있는 듯하다.

KBS의 오정연 아나운서는 지난 5일 회사에 사표를 제출, 오는 2월 초까지 재직하기로 결정했다. KBS 측은 “사표를 제출한 것이 맞다. 현재 공식적인 처리 절차가 진행 중이다.”라고 밝혔다.

2003년 청주 MBC 아나운서로 방송계에 입문한 뒤, 2006년 KBS 32기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한 오 아나운서는 ‘도전 골든벨’ ‘생생 정보통’ ‘생생정보통 플러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간판 아나운서로 자리잡아왔다.

KBS 32기 공채 동기인 전현무와 이지애, 최송현 등이 퇴사하며 각자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만큼 오정연 아나운서의 선택은 예견됐었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오정연 아나운서의 퇴사로, 32기 공채 아나운서 전원이 KBS를 떠나게 됐다.

앞서 한석준 아나운서 또한 중국 진출과 함께 KBS를 퇴사한다는 소문에 휩싸였지만 회사의 만류 끝에 KBS미디어로 자리를 옮기기로 결정됐다.

한석준 아나운서는 KBS의 자회사인 KBS 미디어에서 새로운 업무를 맡을 예정이다.

아나운서들이 프리랜서를 선택의 배경에는 앞서 길을 떠난 이들의 활약이 무엇보다 크다. ‘아나테이너’ 시대에 방송인으로서의 재능과 끼를 발산할 수 있는 기회는 무한히 열려 있고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과 케이블 방송의 예능 및 교양 프로그램이 잇따라 인기를 끌면서 선택의 폭도 넓어진 이유도 한 몫 한다.

실제로 KBS 재직 중인 한 아나운서는 최근 인터뷰에서 “너도 프리랜서 할 거지? 언제 나갈 거야?”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고 밝힌 바 있다.

박지윤의 성공은 여성 아나운서들의 상징적인 지표가 되기도 했다. 2004년 KBS 아나운서로 입사한 박지윤은 2008년 프리랜서로 전향한 후 ‘욕망 아줌마’라는 애칭까지 얻으며 숱한 프로그램에서 화려한 입담과 진행 실력을 보이고 있다.

전현무의 성공 역시 눈에 띈다. 2006년 KBS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 2012년 퇴사한 그는 프리랜서 아나운서 중 가장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개그맨 못지 않은 입담으로 10개에 가까운 프로그램에 출연 중이다.

다른 지상파 아나운서 출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특히 2008년 MBC를 나온 김성주는 제2의 전성기를 맞으며 다수의 프로그램에서 맹활약 중이며, 2013년 프리랜서를 선언한 MBC 전 아나운서 오상진 역시 진행은 물론 연기자로 활약하며 새로운 도약에 나섰다.

프리랜서 아나운서들은 비록 회사를 벗어났지만, 또 다른 회사에 몸을 담는다. 과거 ‘소속이 없는 불안정한 프리랜서’라는 인식이 사라지고, 이제는 대형 엔터테인먼트에 소속돼 활동의 기회와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이다.

전현무는 SM C&C에서 신동엽·강호동과 한솥밥을 먹고 있으며, 문지애와 오상진은 프레인TPC에서 배우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또한 이지애와 윤영미는 초록뱀주나E&M에 몸담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방송가는 지각변동이라 불릴 만큼 종편과 케이블이 높은 시청률을 점유하며 지상파를 위협하고 있다. 양질의 콘텐츠로 승부를 보는 시대, 이제는 지상파와 비지상파라는 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시청률 부담’을 안고 있는 방송사로서도 고민이 많다. 작년 KBS는 2014 브라질월드컵을 앞두고, 2012년 퇴사한 자사 출신 전현무에게 캐스터 자리를 제안해 논란을 빚었다.

퇴사한 아나운서에 대해 3년간 자사 프로그램 출연을 제한하는 내부 규정을 어기면서까지 미팅을 가진 사실이 알려지자, 내부 직원들의 반대가 빗발쳤다. KBS 아나운서들과 노동조합이 전현무의 캐스터 영입을 반대하는 시위까지 벌였고, 결국 전현무는 고사했다. 사원들은 “전문성을 무시한 비상식적인 인사”라고 비판했지만, 결국 ‘아나테이너’에 목말라하는 방송사의 니즈가 드러난 사건으로 남았다.

한 방송 관계자는 “이제는 영역이 무의미 하다. 수익은 물론, 방송의 기회가 더 넓어졌기에 방송사에 소속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갈수록 더해지고 있다”며 “이 같은 변화는 모두가 느끼고 있다. 당분간 아나운서들의 프리랜서 선택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서영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기업, 공급망 ESG 평가 의무화 및 녹색 전환 파이낸싱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기업 '테크노비전(TechnoVision)'이 오는 2026년부터 모든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를 의무화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녹색 전환을 위한 파이낸싱 지원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강화되는 전 세계적인 ESG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분석된다. 테크노비전은 이번 발표에서 협력사들이 탄소 배출량 감축, 노동 인권 보호, 윤리 경영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인 ESG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 협력사들이 ESG 전환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ESG 성과 연계형 대출 금리 우대, 녹색 기술 도입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실제적인 변화를 유도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최근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의무가 강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