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직장인들, 오후시간 피로감 극복 방법


지난해 바이엘코리아 컨슈머케어와 잡코리아가 직장인 남녀 234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 중 37%가 오후 2~4시에 피로감을 가장 많이 느낀다고 보고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이 오후시간을 이겨내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하루에 커피를 출근하면 몇 잔씩 기본으로 섭취한다. 피곤이 오거나 졸리면 ‘카페인’을 찾는 것이 습관화돼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후에 찾아오는 피로감을 쫓기 위해 커피만 들이키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커피를 많이 마시면 밤에 잠을 이루기가 쉽지 않고, 결국에는 충분히 수면을 취하지 못해 이튿날 또다시 피로감을 안고서 출근을 해야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카페인 대신 건강한 간식을 챙겨 먹는 것이 오후 슬럼프를 극복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몸에 에너지를 돌게하는 탄수화물과 식이섬유, 단백질이 풍부한, 그리고 몸을 유지하는 건강한 단백질을 적절하게 섭취하면 생각보다 ‘커피’없이 오후를 나는 것이 어렵지 않을 것이다. 

과일과 견과류를 챙겨먹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과일에 들어있는 과당이 뇌를 깨우고 견과류에 함유된 건강한 지방들이 몸에 즉각적으로 에너지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또 삶거나 구운 아다마메(풋콩)도 좋다. 풋콩은 식이섬유와 단백질 함유가 풍부할 뿐 만이 아니라 씹는 재미까지 더해 지친 오후시간에 활력을 준다. 풋콩에 올리브오일과 소금, 후추 등으로 간을 하고 오븐 등에 구워서 지퍼팩 등에 넣으면 언제나 먹을 수 있는 간편간식이 된다.


전문가들은 오후 슬럼프를 극복하기 위해서 반드시 ‘아침’을 챙겨먹어야 한다고 말한다.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식사가 바로 ‘아침’ 식사다. 건강한 아침식사는 우리 몸이 하루종일 일정량의 에너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건강한 아침식사를 마쳤다면 이어 오는 점심은 조금 가볍게 먹는 것이 좋다. 아주 배부르거나 기름지게 먹은 점심식사가 오후 슬럼프의 가장 큰 원인일 수도 있다. 기름지고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식사보다는 단백질이 많고 탄수화물이 적은 점심이 좋다.

또 체내에 수분이 부족하면 졸릴 수 있으니 조금씩 자주 수분을 섭취해주는 것이 좋고, 틈틈이 자리에서 일어나서 가벼운 산책도 함께 해주는 것이 좋다.

이수연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