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7시간 이상 푹 자야 치매 예방


애덤 스피라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팀은 평소 잠을 6시간 이하로 자는 사람의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가 더 많이 쌓인다는 연구 결과를 2013년 ‘신경학(Neurology)’ 저널에 발표했다.

치매 중에서도 가장 흔한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오랜 기간 찌꺼기처럼 뇌에 쌓여서 발생한다.

연구진이 건강한 중년과 노년 성인 70명을 대상으로 수면 시간과 뇌에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의 양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하루 평균 6시간 이하로 자는 사람들은 7시간 이상 자는 사람들보다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가 2배 더 빠르게 쌓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7시간 이상 충분히 자는 습관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수면의 양뿐 아니라 질도 중요하다. 노지훈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데이비드 홀츠먼 미국 워싱턴대 의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면 장애가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행을 가속화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지난해 ‘실험의학저널(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뇌를 잠에서 깨어나게 만드는 신경전달물질인 ‘오렉신(Orexin)’에 주목했다. 오렉신을 제거해 ‘꿀잠’을 자는 쥐와 베타 아밀로이드가 쌓인 치매 쥐를 교배해 여기서 태어난 새끼 쥐를 관찰했다. 새끼 쥐는 오렉신을 가진 치매 쥐보다 잠자는 시간이 12%가량 늘었고, 베타 아밀로이드의 양은 절반 이상 줄었다. 하지만 새끼 쥐에게 오렉신을 만드는 바이러스를 주입하자 수면 시간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베타 아밀로이드가 축적되기 시작했다.

노 교수는 “수면의 양도 중요하지만 수면의 질도 치매 예방에 중요한 요소”라며 “수면무호흡 증상으로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환자들이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를 앓는 경우가 2배가량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나면서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숙면을 방해하고 장기적으로 치매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김영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은 “아직 스마트폰 사용으로 생긴 수면장애가 치매에 영향을 미쳤다는 보고는 없다”면서도 “스마트폰 사용이 뇌파를 비롯한 뇌 활성에 영향을 주는 만큼 베타 아밀로이드의 침착 등 뇌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을 자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수연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